모모세포종: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조직학 소견 |
잔글 →감별 진단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보통 목 또는 얼굴에 발생하고<ref name=r10>Schirren CG et al. Trichoblastoma and BCC are neoplasms w follicular differentiation sharing the same profile of cytokeratin intermediate filaments. ''Am J Dermatopathol''. 1997 Aug;19(4):341-50. [https://pubmed.ncbi.nlm.nih.gov/9261468/ 연결]</ref>, 눈꺼풀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크기는 보통 1cm 이상이며 경계가 명확하고, 대칭성을 보이는 피부색 결절로서 원발성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피지샘 모반 (nevus sebaceous) 에서 속발하는 경우도 있다<ref name= | 보통 목 또는 얼굴에 발생하고<ref name=r10>Schirren CG et al. Trichoblastoma and BCC are neoplasms w follicular differentiation sharing the same profile of cytokeratin intermediate filaments. ''Am J Dermatopathol''. 1997 Aug;19(4):341-50. [https://pubmed.ncbi.nlm.nih.gov/9261468/ 연결]</ref>, 눈꺼풀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크기는 보통 1cm 이상이며 경계가 명확하고, 대칭성을 보이는 피부색 결절로서 원발성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피지샘 모반 (nevus sebaceous) 에서 속발하는 경우도 있다<ref name=r10 />. 일부는 낭을 형성하기도 하며<ref>Cho HK et al. Pigmented trichoblastoma arising from the nevus sebaceous : a rare case in Korea. ''Ann Dermatol''. 2009 Nov;21(4):406-8. [https://pubmed.ncbi.nlm.nih.gov/20523834/ 연결]</ref>, 색소성 병변을 보이기도 한다<ref name=r10 />. | ||
== 조직학 소견 == | == 조직학 소견 == |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모낭상피종 === | === 모낭상피종 === | ||
모낭상피종은 사상형태를 보이는 기저양 세포들의 응집과 수많은 각질낭을 특징으로 하며, 때로 표피와 연결이 관찰된다. | 모낭상피종은 사상형태를 보이는 기저양 세포들의 응집과 수많은 각질낭을 특징으로 하며, 때로 표피와 연결이 관찰된다. | ||
== 치료 == | |||
해외에서 보고된 19예 모두에서 완전 절제로 완치되었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