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도크 현상: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 의의 ==
== 의의 ==
후두엽 손상이 있을 때 이 현상이 나타나면 회복의 가능성이 좀 더 높음을 시사하는 예후 인자로 사용된다<ref>Troost BT et al. Occipital lobe AV malformations. Clinical and radiologic features in 26 cases w comments on differentiation from migraine. ''Arch Ophthalmol''. 1975 Apr;93(4):250-6. [https://pubmed.ncbi.nlm.nih.gov/1119966/ 연결]</ref>.
후두엽 손상이 있을 때 이 현상이 나타나면 회복의 가능성이 좀 더 높음을 시사하는 예후 인자로 사용된다<ref>Troost BT et al. Occipital lobe AV malformations. Clinical and radiologic features in 26 cases w comments on differentiation from migraine. ''Arch Ophthalmol''. 1975 Apr;93(4):250-6. [https://pubmed.ncbi.nlm.nih.gov/1119966/ 연결]</ref>.
{{참고}}

2023년 6월 6일 (화) 06:18 기준 최신판

리도크 현상 (Riddoch phenomenon) 은 보이지 않는 시야에서 정지해 있는 사물은 인지하지 못하나 움직이는 사물은 인지하는 경우를 말한다.

기전

다양하게 설명된다.

  • 선조 피질의 일부가 보존되었다.
  • 제 5 영역 (V5) 에서 피질하 경로를 통해 기능한다.
  • 정상인의 시야 검사에서도 나타나는, 같은 크기와 밝기의 움직이는 물체는 멈춰 있는 물체보다 더 쉽게 보인다.

의의

후두엽 손상이 있을 때 이 현상이 나타나면 회복의 가능성이 좀 더 높음을 시사하는 예후 인자로 사용된다[1].

참고

  1. Troost BT et al. Occipital lobe AV malformations. Clinical and radiologic features in 26 cases w comments on differentiation from migraine. Arch Ophthalmol. 1975 Apr;93(4):250-6.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