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모체 망막 동맥: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섬모체 망막 동맥 (cilioretinal artery) 은 중심 망막 동맥과는 별도로 시신경유두의 이측연에서 나와 망막 황반부와 시신경 유두 사이에 분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섬모체 망막 동맥 (cilioretinal artery) 은 중심 망막 동맥과는 별도로 시신경유두의 이측연에서 나와 망막 황반부와 시신경 유두 사이에 분포하는 혈관이다.
'''섬모체 망막 동맥 (cilioretinal artery)'''{{망막}} 은 중심 망막 동맥과는 별도로 시신경 유두의 이측연에서 나와 망막 황반부와 시신경 유두 사이에 분포하는 혈관이다.
== 역학 ==
== 역학 ==
출현 빈도는 임상적으로는 10~20%, FA에서는 30% 정도로 알려져 있다.
출현 빈도는 임상적으로는 10~20%, FA에서는 30% 정도로 알려져 있다.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FA]]에서 망막 순환계와 분리된 채, 망막 동맥에 처음 나타나기 1~2초 전인 맥락막 순환시기에 일치하여 나타나며, 이는 [[망막 중심 동맥 폐쇄]]에서 이 동맥이 있을 때 시력이 보존되는 이유가 된다.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FA]]에서 망막 순환계와 분리된 채, 망막 동맥에 처음 나타나기 1~2초 전인 맥락막 순환시기에 일치하여 나타나며, 이는 [[망막 중심 동맥 폐쇄]]에서 이 동맥이 있을 때 시력이 보존되는 이유가 된다.
{{참고}}

2022년 3월 10일 (목) 03:27 판

섬모체 망막 동맥 (cilioretinal artery)[1] 은 중심 망막 동맥과는 별도로 시신경 유두의 이측연에서 나와 망막 황반부와 시신경 유두 사이에 분포하는 혈관이다.

역학

출현 빈도는 임상적으로는 10~20%, FA에서는 30% 정도로 알려져 있다.

검사 및 진단

FA에서 망막 순환계와 분리된 채, 망막 동맥에 처음 나타나기 1~2초 전인 맥락막 순환시기에 일치하여 나타나며, 이는 망막 중심 동맥 폐쇄에서 이 동맥이 있을 때 시력이 보존되는 이유가 된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