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 이형성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영상학적 분류)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다골성 | * 다골성 | ||
=== 영상학적 분류 === | === 영상학적 분류 === | ||
병변의 모양에 따라 분류한다. | 병변의 모양에 따라 분류한다<ref>Fries JW. The roentgen features of fibrous dysplasia of the skull and facial bones; a critical analysis of 39 pathologically proved cases. ''Am J Roentgenol Radium Ther Nucl Med''. 1957 Jan;77(1):71-88. [https://pubmed.ncbi.nlm.nih.gov/13381861/ 연결]</ref>. | ||
* 파젯형 | * 파젯형 | ||
* 경화형 | * 경화형 | ||
* 낭종형 : 가장 드물다. | * 낭종형 : 가장 드물다. | ||
== 관련 질환 == | == 관련 질환 == | ||
피부 색소 침착, 내분비 이상과 동반되어 나타날 때는 Albright 증후군이라 부른다<ref>Albright F et al. Syndrome characterized by osteitis fibrosa disseminata, areas of pigmentation and endocrine dysfunction w precocious puberty in females. ''NEJM''. 1937;216:727-46.</ref>. | 피부 색소 침착, 내분비 이상과 동반되어 나타날 때는 Albright 증후군이라 부른다<ref>Albright F et al. Syndrome characterized by osteitis fibrosa disseminata, areas of pigmentation and endocrine dysfunction w precocious puberty in females. ''NEJM''. 1937;216:727-46.</ref>. | ||
{{참고}} | {{참고}} |
2025년 6월 4일 (수) 06:48 판
섬유 이형성증 (fibrous dysplasia) 은 정상적인 뼈 조직이 섬유 조직과 미성숙 무층뼈로 대치되는 원인 불명의 양성 질환이다[1].
역학
안와 발생은 드물고 머리뼈 중에는 이마뼈에 흔하고 안면에서는 위턱뼈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2].
원인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뼈를 형성하는 기질 조직의 선천적 결함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3].
분류
- 단골성
- 다골성
영상학적 분류
병변의 모양에 따라 분류한다[4].
- 파젯형
- 경화형
- 낭종형 : 가장 드물다.
관련 질환
피부 색소 침착, 내분비 이상과 동반되어 나타날 때는 Albright 증후군이라 부른다[5].
참고
- ↑ Harris WH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fibrous dysplasia. An orthopaedic, pathological, and roentgenographic study. J Bone Joint Surg Am. 1962 Mar;44-A:207-33. 연결
- ↑ Kransdorf MJ et al. Fibrous dysplasia. Radiographics. 1990 May;10(3):519-37. 연결
- ↑ Lichtenstein L et al.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Arch Surg. 1938;36:874-98.
- ↑ Fries JW. The roentgen features of fibrous dysplasia of the skull and facial bones; a critical analysis of 39 pathologically proved cases. Am J Roentgenol Radium Ther Nucl Med. 1957 Jan;77(1):71-88. 연결
- ↑ Albright F et al. Syndrome characterized by osteitis fibrosa disseminata, areas of pigmentation and endocrine dysfunction w precocious puberty in females. NEJM. 1937;216:72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