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1형 신경 섬유종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병인
23번째 줄: 23번째 줄:
윗눈꺼풀이나 안구를 침범했을 때 잘 나타나며 나이가 들어 발병한 경우 편측성으로 동공 주위의 홍채 외반이 동반되기도 한다. 영아에서는 [[전방각 절개술]]을 시행하고 홍채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섬유주 절개술]]을 시도하며, 나이가 든 경우 약물 치료를 먼저 시도하고 단계적인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윗눈꺼풀이나 안구를 침범했을 때 잘 나타나며 나이가 들어 발병한 경우 편측성으로 동공 주위의 홍채 외반이 동반되기도 한다. 영아에서는 [[전방각 절개술]]을 시행하고 홍채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섬유주 절개술]]을 시도하며, 나이가 든 경우 약물 치료를 먼저 시도하고 단계적인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 검사 및 진단 ==
== 진단 ==
다음 임상 양상 중 2개 이상인 경우
다음 임상 양상 중 2개 이상인 경우<ref>Neurofibromatosis. Conference statement. NI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Arch Neurol''. 1988 May;45(5):575-8. [https://pubmed.ncbi.nlm.nih.gov/3128965/ 연결]</ref>
* 6개 이상이 Cafe-au-lait spot (가장 긴 직경이 0.5cm 초과 (사춘기 이전의 경우), *5cm 초과 (사춘기 이후))
* 6개 이상이 Cafe-au-lait spot (가장 긴 직경이 0.5cm 초과 (사춘기 이전의 경우), 1.5cm 초과 (사춘기 이후))
* 2개 이상의 신경섬유종, 혹은 1개 이상의 얼기모양 신경섬유종
* 겨드랑이나 사타구니의 주근깨
* 겨드랑이나 사타구니의 주근깨
* 두 개 이상의 신경섬유종, 혹은 1개 이상의 얼기모양 신경섬유종
* 2개 이상의 리쉬 결절
* 두 개 이상의 리쉬 결절
* 특징적인 골 이형성
* 특징적인 골 이형성
* 1형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직계 가족
* 직계 가족 내의 가족력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