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유두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비만세포 안정제 |
잔글 →스테로이드 |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약물 치료의 목적은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방출을 중이고 국소 염증을 억제하는 것이다. | 약물 치료의 목적은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방출을 중이고 국소 염증을 억제하는 것이다. | ||
=== 스테로이드 === | === 스테로이드 === | ||
국소 스테로이드는 눈꺼풀판 충혈과 염증을 경감하기 위해 흔히 사용하지만, GPC 치료에 특별히 효과적인 면은 증명되지 | 국소 스테로이드는 눈꺼풀판 충혈과 염증을 경감하기 위해 흔히 사용하지만, GPC 치료에 특별히 효과적인 면은 증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GPC의 급성기에 제한적으로 사용하는데,스테로이드가 필요하다는 것은 질환이 중증임을 의미한다. GPC 치료에서 국소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쓰는 것은 이득이 없다. | ||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 |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 | ||
[[콘택트렌즈|CL]]와 연관된 GPC에서 비스테로 이드성 항염중제인 Suprofen을 2~4주간 국소적으로 쓴 군이 위약 대조군에 비해 눈의 징후와 증상이 2배 정도 감소하였다. 기전은 비만세포에 의한 PGs의 생합성 억제이다. 그러나 GPC에서 장기간 국소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를 사용해 얻은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 [[콘택트렌즈|CL]]와 연관된 GPC에서 비스테로 이드성 항염중제인 Suprofen을 2~4주간 국소적으로 쓴 군이 위약 대조군에 비해 눈의 징후와 증상이 2배 정도 감소하였다. 기전은 비만세포에 의한 PGs의 생합성 억제이다. 그러나 GPC에서 장기간 국소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를 사용해 얻은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