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거대 유두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역학
잔글 역학
1번째 줄: 1번째 줄:
'''거대 유두 결막염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GPC)'''{{각막}} 은 위눈꺼풀판 결막을 침범하는 비감염성 염증 질환으로, 거대 유두(직경 1.0mm 이상)가 위눈꺼풀판을 따라 존재하며, 현재는 0.3mm 이상의 유두가 존재하면 이상 소견으로 간주된다.
'''거대 유두 결막염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GPC)'''{{각막}} 은 위눈꺼풀판 결막을 침범하는 비감염성 염증 질환으로, 거대 유두(직경 1.0mm 이상)가 위눈꺼풀판을 따라 존재하며, 현재는 0.3mm 이상의 유두가 존재하면 이상 소견으로 간주된다.
== 역학 ==
== 역학 ==
[[콘택트렌즈|CL]]와 연관된 GPC는 [[콘택트렌즈|CL]] 형태, 착용 일정, 세척법, 착용 시간 등이 유병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SCL]] 착용자의 1~5%, [[하드 콘택트렌즈|HCL]] 착용자의 1%에서 GPC의 임상적 징후 혹은 증상이 나타난다. 연속 착용 [[콘택트렌즈|CL]] 사용자의 유병률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일일 착용 [[콘택트렌즈|CL]] 사용자보다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소프트 콘택트렌즈|SCL]] 사용자에서는 평균 8개월 안에 발생하며, [[하드 콘택트렌즈|HCL]] 사용자에서는 평균 8년으로 보고되지만, [[소프트 콘택트렌즈|SCL]] 사용 후 3주 만에 발생할 수도 있고 [[하드 콘택트렌즈|HCL]]에서는 14개월 만에 발생하기도 한다.
[[콘택트렌즈|CL]]와 연관된 GPC는 [[콘택트렌즈|CL]] 형태, 착용 일정, 세척법, 착용 시간 등이 유병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SCL]] 착용자의 1~5%, [[하드 콘택트렌즈|HCL]] 착용자의 1%에서 GPC의 임상적 징후 혹은 증상이 나타난다. 연속 착용 [[콘택트렌즈|CL]] 사용자의 유병률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일일 착용 [[콘택트렌즈|CL]] 사용자보다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SCL]] 사용자에서는 평균 8개월 안에 발생하며, [[하드 콘택트렌즈|HCL]] 사용자에서는 평균 8년으로 보고되지만, [[소프트 콘택트렌즈|SCL]] 사용 후 3주 만에 발생할 수도 있고 [[하드 콘택트렌즈|HCL]]에서는 14개월 만에 발생하기도 한다.


== 원인 ==
== 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