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지루 각화증 (결막):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주위의 정상적인 부위와의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며, 점막위의 표면은 거칠고 융기된 병변을 보이지만, 서서히 성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ref>Fitzpatrick TB et al.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6th ed. New York : McGraw-Hill, 2003; 767-85</ref>. 눈 표면인 결막에서 발생하지만 통증은 없고 크기가 커질 경우에는 이물감을 주로 호소하게 된다.
주위의 정상적인 부위와의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며, 점막위의 표면은 거칠고 융기된 병변을 보이지만, 서서히 성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ref>Fitzpatrick TB et al.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6th ed. New York : McGraw-Hill, 2003; 767-85</ref>. 눈 표면인 결막에서 발생하지만 통증은 없고 크기가 커질 경우에는 이물감을 주로 호소하게 된다.
{{외부사진
|1=https://jkos.org/upload/thumbnails/jkos-2025-66-11-453f1.jpg
}}
== 조직학 ==
== 조직학 ==
진단은 대부분 임상적 양상으로 진단하지만, 확진을 위해서는 조직 검사가 필요하다. 특징적인 조직 소견에서는 상각질 낭종 (keratin cyst), 쪽불낭 (horn cyst)<ref>Aydogan K et al. Irritated seborrhoeic keratosis presenting as a cutaneous horn.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6 May;20(5):626-8. [https://pubmed.ncbi.nlm.nih.gov/16684308/ 연결]</ref>, 기저세포양 (basaloid cell), 색소 침착 (pigmentation), 염증 반응 등이 관찰된다<ref>Cascajo CD et al. Malignant neoplasms a/w seborrheic keratoses. An analysis of 54 cases. ''Am J Dermatopathol''. 1996 Jun;18(3):278-82. [https://pubmed.ncbi.nlm.nih.gov/8806962/ 연결]</ref><ref>LeBoit PE et al.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 Pathology and Genetics of Skin Tumours. Lyon : IARC Press, 2006;41-3.</ref>. 결막 종양 병변의 기원이나 병변의 진행 및 악성화를 알기 위해서는 p53, Ki-67<ref>Ohara M et al. Ki-67 labeling index as a marker of malignancy in ocular surface neoplasms. ''JJO''. 2004 Nov-Dec;48(6):524-9. [https://pubmed.ncbi.nlm.nih.gov/15592775/ 연결]</ref>, p16 지표를 이용한 면역조직 화학 염색이 요구되기도 한다<ref>Tseng SH et al. Seborrheic keratosis of conjunctiva simulating a malignant melanoma : an immunocytochemical study w impression cytology. ''Ophthalmology''. 1999 Aug;106(8):1516-20. [https://pubmed.ncbi.nlm.nih.gov/10442897/ 연결]</ref>.
진단은 대부분 임상적 양상으로 진단하지만, 확진을 위해서는 조직 검사가 필요하다. 특징적인 조직 소견에서는 상각질 낭종 (keratin cyst), 쪽불낭 (horn cyst)<ref>Aydogan K et al. Irritated seborrhoeic keratosis presenting as a cutaneous horn.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6 May;20(5):626-8. [https://pubmed.ncbi.nlm.nih.gov/16684308/ 연결]</ref>, 기저세포양 (basaloid cell), 색소 침착 (pigmentation), 염증 반응 등이 관찰된다<ref>Cascajo CD et al. Malignant neoplasms a/w seborrheic keratoses. An analysis of 54 cases. ''Am J Dermatopathol''. 1996 Jun;18(3):278-82. [https://pubmed.ncbi.nlm.nih.gov/8806962/ 연결]</ref><ref>LeBoit PE et al.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 Pathology and Genetics of Skin Tumours. Lyon : IARC Press, 2006;41-3.</ref>. 결막 종양 병변의 기원이나 병변의 진행 및 악성화를 알기 위해서는 p53, Ki-67<ref>Ohara M et al. Ki-67 labeling index as a marker of malignancy in ocular surface neoplasms. ''JJO''. 2004 Nov-Dec;48(6):524-9. [https://pubmed.ncbi.nlm.nih.gov/15592775/ 연결]</ref>, p16 지표를 이용한 면역조직 화학 염색이 요구되기도 한다<ref>Tseng SH et al. Seborrheic keratosis of conjunctiva simulating a malignant melanoma : an immunocytochemical study w impression cytology. ''Ophthalmology''. 1999 Aug;106(8):1516-20. [https://pubmed.ncbi.nlm.nih.gov/10442897/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