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계막: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내경계막 (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 은 망막 가장 내측의 있는 PAS 양성의 얇은 막으로 두께는 부위에 따라 달라 <span style='color:blue;'>후극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내경계막 (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 은 망막 가장 내측의 있는 PAS 양성의 얇은 막으로 두께는 부위에 따라 달라 <span style='color:blue;'>후극부는 2~3㎛으로 조금 두껍고 주변부는 얇다. 그러나 중심와와 유두면에서는 극히 얇은 막</span>으로 되어 있다. 유두면의 내경계막은 [[뮬러 세포]]가 없는 부위이기에 [[성상 세포]]에 의해 만들어진 막이다.
'''내경계막 (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망막}} 은 망막 가장 내측의 있는 PAS 양성의 얇은 막으로 두께는 부위에 따라 달라 <span style='color:blue;'>후극부는 2~3㎛으로 조금 두껍고 주변부는 얇다. 그러나 중심와와 유두면에서는 극히 얇은 막</span>으로 되어 있다. 유두면의 내경계막은 [[뮬러 세포]]가 없는 부위이기에 [[성상 세포]]에 의해 만들어진 막이다.
== 조직 병리 ==
== 조직 병리 ==
전자 현미경적으로는 <span style='color:blue;'>[[뮬러 세포]]의 기저막</span>에 해당된다.
전자 현미경적으로는 <span style='color:blue;'>[[뮬러 세포]]의 기저막</span>에 해당된다.
{{참고}}

2021년 8월 11일 (수) 03:37 판

내경계막 (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1] 은 망막 가장 내측의 있는 PAS 양성의 얇은 막으로 두께는 부위에 따라 달라 후극부는 2~3㎛으로 조금 두껍고 주변부는 얇다. 그러나 중심와와 유두면에서는 극히 얇은 막으로 되어 있다. 유두면의 내경계막은 뮬러 세포가 없는 부위이기에 성상 세포에 의해 만들어진 막이다.

조직 병리

전자 현미경적으로는 뮬러 세포의 기저막에 해당된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