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1형: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1형 (idiopathic juxtafoveal telangiectasis type 1; IJT1)</b> == 역학 == 주로 <span style='color:blue;'>중년 남자</span>에...)
 
잔글 (Smile님이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1형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1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차이 없음)

2024년 10월 23일 (수) 03:17 판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1형 (idiopathic juxtafoveal telangiectasis type 1; IJT1)

역학

주로 중년 남자에서 발견되며 평균 발생 연령은 40세경이고 대부분 한쪽 눈에 발병한다.

원인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발생한다.

관련 질환

망막 주변부에 국소적인 혈관 이상을 동반할 수도 있어 코우츠병의 한 형태로 여겨지기도 한다.

임상 소견

안저 검사에서 명백학 모세혈관 확장이 쉽게 관찰이 되며, 다양한 크기의 미세혈관류가 관찰된다. 모세혈관 확장은 2DD 이상으로 황반부 이측에서 관찰이 되며, 황반 부종과 삼출물이 시력 감소의 원인이다.
직각 소정맥이나 유리체 망막 인접부의 결절 침착, 망막 색소상피 증식에 의한 판 형성, 망막내로의 색소 이동, 망막하 신생혈관은 나타나지 않는다.

검사 및 진단

  • FA : 황반부 수평 솔기를 넘어서는 모세혈관 확장이 잘 관찰된다.
  • OCT : 황반부 중심에 낭포성 혹은 비낭포성 황반 부종에 의한 망막 두께의 증가가 관찰되며, 간혹 망막하액이 관찰되기도 하며, 황반부 근처에서 비정상적으로 큰 망막내 혈관이 외핵층에서 관찰되기도 하지만 대체로 외층 망막(외핵층, 외경계막, 광수용체 내외절경계)은 잘 유지되고 있다.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레이저 광응고술 : 진행하여 시력이 떨어진다면 삼출물을 감소시키고 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시행할 수 있다.
  • anti-VEGF : 망막 두께 감소의 효과가 있는 경우도 있으나, 시력 호전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연구 대상수가 적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예후 및 합병증

시력은 20/40 정도로 잘 유지되며, 간혹 저절로 회복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