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 (ethambutol-induced optic neuropathy)</b>
'''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 (ethambutol-induced optic neuropathy)'''{{신경안과}}
== 역학 ==
== 역학 ==
투여 후 2~7개월에 발생한다. 신장을 통해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 결핵 등 신장 기능이 나쁘거나 당뇨병, 고령, 고혈압, 간손상, 영양 결핍, 흡연과 알코올 섭취가 심한 경우에 잘 생긴다.
투여 후 2~7개월에 발생한다. 신장을 통해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 결핵 등 신장 기능이 나쁘거나 당뇨병, 고령, 고혈압, 간손상, 영양 결핍, 흡연과 알코올 섭취가 심한 경우에 잘 생긴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 치료 ==
== 치료 ==
시력이 나빠지면 투약을 중지해야 하며, 중지하면 대개 시력이 회복된다고 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치료 방법은 없다.
시력이 나빠지면 투약을 중지해야 하며, 중지하면 대개 시력이 회복된다고 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치료 방법은 없다.
== 참고 ==
{{참고}}
신경안과학 제 3판, 2017 (한국 신경안과 학회, 일조각)

2022년 2월 10일 (목) 13:20 판

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 (ethambutol-induced optic neuropathy)[1]

역학

투여 후 2~7개월에 발생한다. 신장을 통해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 결핵 등 신장 기능이 나쁘거나 당뇨병, 고령, 고혈압, 간손상, 영양 결핍, 흡연과 알코올 섭취가 심한 경우에 잘 생긴다.

병인

동물 실험 결과 주로 시신경 교차에 병변을 일으킨다. 시력 이상은 투여량과 관계가 있어 대개 25mg/kg/일 이상을 투여한 환자에게 발생하나, 치료 용량인 15~25mg/kg/일 을 투여한 환자의 1%에서 시력 손상이 보고되었다.

임상 양상

색각 이상이 가장 초기 증상이고 양안에서 시력 장애가 서서히 진행된다. 중심 암점이 주로 나타나며 때로는 양이측 반맹도 온다.

검사 및 진단

투약하기 전에 반드시 기본적인 안과 검사를 해 두어야 한다.

치료

시력이 나빠지면 투약을 중지해야 하며, 중지하면 대개 시력이 회복된다고 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치료 방법은 없다.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