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HTS: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Ocular Hypertension Treatment Study (OHTS) == 연구의 목적 == 녹내장성 손상이 없는 고안압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 안압 하강제의 치료 효과와 개방...)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Ocular Hypertension Treatment Study (OHTS) | '''Ocular Hypertension Treatment Study (OHTS)'''{{녹내장}}<ref>Kass MA et al. The OHTS : a randomized trial determines that topical OHTN medication delays or prevents the onset of POAG. ''Arch Ophthalmol''. 2002 Jun;120(6):701-13; discussion 829-30. [https://pubmed.ncbi.nlm.nih.gov/12049574/ 연결]</ref> | ||
== 연구의 목적 == | == 연구의 목적 == | ||
녹내장성 손상이 없는 고안압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 안압 하강제의 치료 효과와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에 대한 지연 또는 방지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 녹내장성 손상이 없는 고안압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 안압 하강제의 치료 효과와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에 대한 지연 또는 방지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 ||
== 결과 == | == 결과 == | ||
약물 치료를 받지 않은 대부분의 환자는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하지 않았으며, 약물 치료로 안압을 20% 낮추었을 경우 50%의 환자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고안압증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임상적 위험 요인으로 고령, 큰 유두함몰비, 조기 시야 손상, 얇은 각막, 높은 안압을 보고하였다. | 약물 치료를 받지 않은 대부분의 환자는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하지 않았으며, 약물 치료로 안압을 20% 낮추었을 경우 50%의 환자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고안압증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임상적 위험 요인으로 고령, 큰 유두함몰비, 조기 시야 손상, 얇은 각막, 높은 안압을 보고하였다. | ||
{{참고}} |
2021년 9월 10일 (금) 12:13 판
Ocular Hypertension Treatment Study (OHTS)[1][2]
연구의 목적
녹내장성 손상이 없는 고안압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 안압 하강제의 치료 효과와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에 대한 지연 또는 방지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결과
약물 치료를 받지 않은 대부분의 환자는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하지 않았으며, 약물 치료로 안압을 20% 낮추었을 경우 50%의 환자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고안압증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임상적 위험 요인으로 고령, 큰 유두함몰비, 조기 시야 손상, 얇은 각막, 높은 안압을 보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