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내피세포: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Smile님이 각막 내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각막 내피세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 (→‎기능)
3번째 줄: 3번째 줄:
각막 외상, 안구내 수술 또는 영양 장애 등으로 장해를 입으면 생체 내에서는 재생하지 않기 때문에 세포 비대에 의한 상처 치유가 일어나고 그 결과로 다면성 (polymegathism), 다형성 (pleomorphism) 이 생긴다. 심각한 손상은 내피의 기능 장애를 일으키고 안 보이고 아픈 수포 각막병증으로 진행되어 각막 이식을 요하게 된다.
각막 외상, 안구내 수술 또는 영양 장애 등으로 장해를 입으면 생체 내에서는 재생하지 않기 때문에 세포 비대에 의한 상처 치유가 일어나고 그 결과로 다면성 (polymegathism), 다형성 (pleomorphism) 이 생긴다. 심각한 손상은 내피의 기능 장애를 일으키고 안 보이고 아픈 수포 각막병증으로 진행되어 각막 이식을 요하게 된다.
== 기능 ==
== 기능 ==
각막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물을 배출하여 투명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세포이다.
각막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물을 배출하여 투명성을 유지하며<ref>Tuft SJ et al. The corneal endothelium. ''Eye (Lond)''. 1990;4 (Pt 3):389-424. [https://pubmed.ncbi.nlm.nih.gov/2209904/ 연결]</ref>, 손상 시 재생되지 않는다<ref>Joyce NC. Proliferative capacity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Exp Eye Res''. 2012 Feb;95(1):16-23. [https://pubmed.ncbi.nlm.nih.gov/21906590/ 연결]</ref>.
== 세포수 (cell density, CD) ==
성인 평균 2,000~2,500 (이하 단위 cells/mm²) 로, 출생 후 아동기에 3,000~3,500 정도의 평균 개수를 보이며<ref>Nucci P et al. Normal endothelial CD range in childhood. ''Arch Ophthalmol''. 1990 Feb;108(2):247-8. [https://pubmed.ncbi.nlm.nih.gov/2302110/ 연결]</ref> 이후로 연평균 0.6%의 비율로 점차 감소하여<ref>Bourne WM et al. Central corneal endothelial cell changes over a 10y period. ''IOVS''. 1997 Mar;38(3):779-82. [https://pubmed.ncbi.nlm.nih.gov/9071233/ 연결]</ref> 40~90세 평균 2,400 (정상 범위 1,500~3,500) 를 유지한다<ref>Corneal endothelial photography. 3y revision. AAO. ''Ophthalmology''. 1997 Aug;104(8):1360-5. [https://pubmed.ncbi.nlm.nih.gov/9261327/ 연결]</ref><ref>Hoffer KJ et al. Normal endothelial cell count range. ''Ophthalmology''. 1980 Sep;87(9):861-6. [https://pubmed.ncbi.nlm.nih.gov/7413150/ 연결]</ref>. 세포수가 500~1,000 인 경우 백내장 수술 후 내피 부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최소 400~500의 세포 수를 유지해야 내피세포의 기능이 유지된다. 내피 수가 300 이하로 떨어지면 내피 부전이 발생하며 각막 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ref>Hoffer KJ. Corneal decomposition after corneal endothelium cell count. ''AJO''. 1979 Feb;87(2):252-3. [https://pubmed.ncbi.nlm.nih.gov/312020/ 연결]</ref>. 이에 따라 수술 전 내피세포수가 500 이하인 경우 백내장 수술은 비교적 신중히 결정할 필요가 있다.
{{참고}}
{{참고}}

2022년 3월 19일 (토) 09:43 판

데스메막의 후면은 단층의 각막 내피세포 (corneal epithelium)[1] 가 덮고 있으며 규칙적인 모자이크 형태의 배열을 나타낸다. 내피 세포의 두께는 5㎛, 직경은 20㎛ 정도이며 육각형이다. 출생 이후는 분열을 멈추어서 그 수가 출생 당시 5,000/mm2 정도이지만, 나이에 따라 점차 (0.5~0.6%/년) 감소하게 되고 결국 500/mm2 이하로 감소하면 pump failure 에 의한 각막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각막 외상, 안구내 수술 또는 영양 장애 등으로 장해를 입으면 생체 내에서는 재생하지 않기 때문에 세포 비대에 의한 상처 치유가 일어나고 그 결과로 다면성 (polymegathism), 다형성 (pleomorphism) 이 생긴다. 심각한 손상은 내피의 기능 장애를 일으키고 안 보이고 아픈 수포 각막병증으로 진행되어 각막 이식을 요하게 된다.

기능

각막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물을 배출하여 투명성을 유지하며[2], 손상 시 재생되지 않는다[3].

세포수 (cell density, CD)

성인 평균 2,000~2,500 (이하 단위 cells/mm²) 로, 출생 후 아동기에 3,000~3,500 정도의 평균 개수를 보이며[4] 이후로 연평균 0.6%의 비율로 점차 감소하여[5] 40~90세 평균 2,400 (정상 범위 1,500~3,500) 를 유지한다[6][7]. 세포수가 500~1,000 인 경우 백내장 수술 후 내피 부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최소 400~500의 세포 수를 유지해야 내피세포의 기능이 유지된다. 내피 수가 300 이하로 떨어지면 내피 부전이 발생하며 각막 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8]. 이에 따라 수술 전 내피세포수가 500 이하인 경우 백내장 수술은 비교적 신중히 결정할 필요가 있다.

참고

  1.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2. Tuft SJ et al. The corneal endothelium. Eye (Lond). 1990;4 (Pt 3):389-424. 연결
  3. Joyce NC. Proliferative capacity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Exp Eye Res. 2012 Feb;95(1):16-23. 연결
  4. Nucci P et al. Normal endothelial CD range in childhood. Arch Ophthalmol. 1990 Feb;108(2):247-8. 연결
  5. Bourne WM et al. Central corneal endothelial cell changes over a 10y period. IOVS. 1997 Mar;38(3):779-82. 연결
  6. Corneal endothelial photography. 3y revision. AAO. Ophthalmology. 1997 Aug;104(8):1360-5. 연결
  7. Hoffer KJ et al. Normal endothelial cell count range. Ophthalmology. 1980 Sep;87(9):861-6. 연결
  8. Hoffer KJ. Corneal decomposition after corneal endothelium cell count. AJO. 1979 Feb;87(2):252-3.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