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모양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실모양 각막염 (filamentary keratitis)''' 은 각막 표면에 탈락된 상피세포와 점액질로 이루어진 실모양체가 형성되는 질환으로 만성적이며 자주 재발하는 특징을 가지며, 근본적인 원인 제거가 어려워 치료가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Zaidman GW et al. The histopathology of filamentary keratitis. ''Arch Ophthalmol''. 1985 Aug;103(8):1178-81. [https://pubmed.ncbi.nlm.nih.gov/4026649/ 연결]</ref><ref>Wright P. Filamentary kerat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75 Jul;95(2):260-6. [https://pubmed.ncbi.nlm.nih.gov/1064224/ 연결] | '''실모양 각막염 (filamentary keratitis)''' 은 각막 표면에 탈락된 상피세포와 점액질로 이루어진 실모양체가 형성되는 질환으로 만성적이며 자주 재발하는 특징을 가지며, 근본적인 원인 제거가 어려워 치료가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Zaidman GW et al. The histopathology of filamentary keratitis. ''Arch Ophthalmol''. 1985 Aug;103(8):1178-81. [https://pubmed.ncbi.nlm.nih.gov/4026649/ 연결]</ref><ref>Wright P. Filamentary kerat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75 Jul;95(2):260-6. [https://pubmed.ncbi.nlm.nih.gov/1064224/ 연결]</ref><ref>Beetham WP. Filamentary Keratitis. ''Trans Am Ophthalmol Soc''. 1935;33:413-35. [https://pubmed.ncbi.nlm.nih.gov/16693066/ 연결]</ref>. 임상적으로 흔하지 않지만 비정상적인 눈물층이나 각막 표면 환경에서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고, 이환된 환자는 증상이 매우 심한 것이 특징이다. 실모양체가 형성되는 원인이나 병태생리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실모양체가 변성된 각막 상피세포와 점액으로 이루어져 있고 <span style='color:blue;'>한쪽 끝이 각막 표면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는 것</span>에는 이견이 없다. 실모양체는 각막의 앞쪽 표면에서 작은 젤리 가닥처럼 보이며 크기, 모양, 조성, 분포가 매우 다양하다. | ||
== 실모양체의 정의 == | == 실모양체의 정의 == | ||
정확한 정의는 문헌마다 다르나 모든 경우에 바닥이 각막 표면과 유착되어 있다. 점액성 핵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변성된 상피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0.5~10.0mm), 모양, 분포가 매우 다양하나 아형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지는 않는다. | 정확한 정의는 문헌마다 다르나 모든 경우에 바닥이 각막 표면과 유착되어 있다. 점액성 핵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변성된 상피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0.5~10.0mm), 모양, 분포가 매우 다양하나 아형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지는 않는다. |
2022년 5월 4일 (수) 07:32 판
실모양 각막염 (filamentary keratitis) 은 각막 표면에 탈락된 상피세포와 점액질로 이루어진 실모양체가 형성되는 질환으로 만성적이며 자주 재발하는 특징을 가지며, 근본적인 원인 제거가 어려워 치료가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1][2][3]. 임상적으로 흔하지 않지만 비정상적인 눈물층이나 각막 표면 환경에서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고, 이환된 환자는 증상이 매우 심한 것이 특징이다. 실모양체가 형성되는 원인이나 병태생리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실모양체가 변성된 각막 상피세포와 점액으로 이루어져 있고 한쪽 끝이 각막 표면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실모양체는 각막의 앞쪽 표면에서 작은 젤리 가닥처럼 보이며 크기, 모양, 조성, 분포가 매우 다양하다.
실모양체의 정의
정확한 정의는 문헌마다 다르나 모든 경우에 바닥이 각막 표면과 유착되어 있다. 점액성 핵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변성된 상피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0.5~10.0mm), 모양, 분포가 매우 다양하나 아형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지는 않는다.
병태 생리
비정상적인 각막 표면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사체 각막의 광학 현미경 소견에서 바닥막 바로 아래로 염증 세포와 섬유모세포가 모여들고 바닥막을 통과하여 보우만층을 침범하며 바닥막의 일부가 공포와 원섬유 물질로 대체됨이 밝혀져 있다. 이러한 소견을 바탕으로 바닥막 파괴에 의해 국소 바닥막의 박리가 일어나고, 박리된 바닥막은 점액과 변성된 각막 상피세포의 수용체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대두된 바 있다. Tabery는 실제 생체현미경적 소견을 바탕으로 상기 소견과 일치하는 결과들을 발표했다.
관련 질환
- 건성 각결막염 : 가장 흔히 연관된 각막 표면 질환으로 눈물 중 점액과 수성층의 비율 변화가 실모양체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수성 눈물부종 환경에서는 결막 술잔 세포의 점액 분비가 늘어나는데, 점액은 탈락된 각막 상피세포를 처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성안에서 실모양체의 형성이 촉진될 수 있다. 눈물 지방층의 양이나 점도가 증가할 경우 점액층이 작은 가닥들로 분해되고 이에 따라 각막 표면에 손상을 일
증상
경미한 것부터 눈부심, 눈꺼풀 연축, 눈물 흘림을 동반한 심한 이물감까지 매우 다양하다. 눈꺼풀 연축은 실모양체로 인한 통증 때문에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눈을 깜빡일 때 증상이 가장 심하며, 눈을 감고 있을 때 보통 증상이 경감된다.
임상 소견
실모양체는 0.5mm에서 수 mm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고 일반적으로 각막에 단단히 붙어있으며, 아래쪽으로 작은 회색의 상피하 혼탁을 동반하기도 한다. 간혹 힘껏 눈을 깜빡일 때 실모양체가 떨어지기도 하지만, 이렇게 생겨난 상피 결손은 실모양체 형성을 더욱 촉진한다
실모양체는 rose bengal에 진하게 염색되나 형광 염색에서는 약간 덜 밝게 염색된다. 바닥의 상피 결손은 형광염색에서 매우 잘 염색되며, 돌출되어 있는 실모양체는 어두운 염색 양상을 보인다.
비수술적 치료
- 원인의 교정 : 건성 각결막염, 콘택트렌즈의 과다 착용, 각막에 독성이 있는 약물 사용, 오랜 눈꺼풀 차폐 등 원인을 발견하고 교정해야 한다. 최근 Kakizaki 등은 눈꺼풀 처짐이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환자에 눈꺼풀 처짐 교정술을 시행함으로써 실모양 각막염이 호전되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 기계적인 제거 : 일시적으로 증상을 호전시키지만 궁극적인 치료가 되지는 못한다. Jeweler 혹은 tying 겸자로 제거하며, 상피 결손이 생길 경우 새로운 실모양체의 수용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결손이 생기지 않게 제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인공눈물, 연고 : 낮에 인공눈물을 점안하고 자기 전에 연고를 점안하면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환자에서 점액성 눈물 제제가 효과를 나타내지만, 점액성 눈물제제나 연고는 눈물층의 조성을 변화시키고 오히려 실모양체 생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가급적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은 인공눈물 제제를 사용한다. 최근 기름을 용제로 개발된 인공눈물은 지질층을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안구 건조증이 있는 경우 눈물점 폐쇄가 도움이 된다.
- 5% 염화 나트륨 : Hamilton과 Wood는 5% NaCl을 하루에 3~4회 점안하자 95%의 환자에서 효과가 있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약물은 상피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부종을 줄이고 유착을 증가시키는데, 체액이 삼투압 차이로 인해 결막 실질에서 각막 표면으로 이동함으로써 건조함이 해소된다. 삼투압 차이를 이용하여 표면 윤활을 증가시키는 저장액 역시 효과적일 수 있다.
- 10% N-acetylcysteine : 점액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점액 용해제이다. 호흡기에 사용하는 약물에서 방부제 없이 사용 가능하며, 냉장 보관하면 3~4주 동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압박 콘택트렌즈 : Bloomfield는 압박 콘택트렌즈를 사용한 20명의 환자에서 100%의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산소 투과력이 높은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한데, 얇고 함수율이 낮은 hydrogel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가장 적합하다. 안구 표면의 염증을 줄이고 윤활을 위해 스테로이드 점안약과 인공눈물을 같이 사용하며, 실모양체가 없어진 후 24시간 안에 콘택트렌즈를 제거한다. 장기간의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 0.1% diclofenac : Grinbaum 등은 0.1% diclofenac 단독 치료 혹은 다른 약물과의 병용 치료 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Avisar 등도 역시 이 용제가 5% 식염수와 거의 동등한 치료 효과를 나타냈으며 증상 호전이 보다 빨랐다고 보고했다.
기타 치료로 eledoisin, β선 조사, heparin이나 dextran의 국소 투여, 점액 용해제의 전신 투여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효과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예후 및 합병증
장기간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흔히 재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