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르헥시딘: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은 널리 사용되는 소독제로,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 진균 등의 멸균에 효과적인 소독제로 안면부 수술 및...)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은 널리 사용되는 소독제로,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 진균 등의 멸균에 효과적인 소독제로 안면부 수술 및 구강내 소독 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0.12%의 저농도가 주요 수술 전 멸균 소독제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 은 널리 사용되는 소독제로,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 진균 등의 멸균에 효과적인 소독제로 안면부 수술 및 구강내 소독 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0.12%의 저농도가 주요 수술 전 멸균 소독제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ref>박주예 등, 0.12%의 클로르헥시딘에 의한 단안 각막부종 1예, ''JKOS'' 2022;63(8):717-72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654 연결]</ref>.
== 부작용 ==
== 부작용 ==
이전 연구에서 4% 클로르헥시딘으로 인한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 각막상피 및 내피세포에 대한 독성이 보고된 바 있다<ref>Tabor E et al. Corneal damage due to eye contact w chlorhexidine gluconate. ''JAMA''. 1989 Jan 27;261(4):557-8. [https://pubmed.ncbi.nlm.nih.gov/2909794/ 연결]</ref>.
이전 연구에서 4% 클로르헥시딘으로 인한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 각막상피 및 내피세포에 대한 독성이 보고된 바 있다<ref>Tabor E et al. Corneal damage due to eye contact w chlorhexidine gluconate. ''JAMA''. 1989 Jan 27;261(4):557-8. [https://pubmed.ncbi.nlm.nih.gov/2909794/ 연결]</ref>.
{{참고}}
{{참고}}

2022년 8월 28일 (일) 09:42 판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 은 널리 사용되는 소독제로,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 진균 등의 멸균에 효과적인 소독제로 안면부 수술 및 구강내 소독 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0.12%의 저농도가 주요 수술 전 멸균 소독제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1].

부작용

이전 연구에서 4% 클로르헥시딘으로 인한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 각막상피 및 내피세포에 대한 독성이 보고된 바 있다[2].

참고

  1. 박주예 등, 0.12%의 클로르헥시딘에 의한 단안 각막부종 1예, JKOS 2022;63(8):717-720. 연결
  2. Tabor E et al. Corneal damage due to eye contact w chlorhexidine gluconate. JAMA. 1989 Jan 27;261(4):557-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