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반동 안압계: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충격-반동 안압계 (impact-rebound tonometer) 는 전기로 작동하는 가벼운 일회용 탐침이 각막을 누르고 제자리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안압...)
 
잔글 (→‎단점)
 
6번째 줄: 6번째 줄:
* 환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수 없거나 세극등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 환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수 없거나 세극등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 단점 ==
== 단점 ==
골드만 압평안압계와 마찬가지로 <span style='color:blue;'>각막 반흔이 있는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며</span>, 중심 각막두께의 영향을 받는다.  
[[골드만 압평 안압계]]와 마찬가지로 <span style='color:blue;'>각막 반흔이 있는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며</span>, 중심 각막두께의 영향을 받는다.
 
== 적응증 ==
== 적응증 ==
특히 이 안압계는 이중 프리즘의 직경이 큰 전통적인 압평 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기 어려운 작은 실험 동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안압계는 이중 프리즘의 직경이 큰 전통적인 압평 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기 어려운 작은 실험 동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020년 3월 16일 (월) 15:53 기준 최신판

충격-반동 안압계 (impact-rebound tonometer) 는 전기로 작동하는 가벼운 일회용 탐침이 각막을 누르고 제자리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안압으로 환산한다. 정상인과 각막이식수술 후 이 장비로 측정된 안압은 골드만 압평 안압계의 결과와 비슷하지만 전반적으로 더 높게 측정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병태 생리

안압이 낮으면 탐침이 돌아오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반대로 안압이 높으면 짧게 걸리는 원리 를 이용한 것으로, 측정된 압력은 안압 뿐 아니라 각막의 생역학적 특성을 반영한다.

장점

  • 탐침이 극히 가볍고 접촉시간이 짧아 마취를 시행하지 않고 안압을 측정할 수 있다.
  • 환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수 없거나 세극등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단점

골드만 압평 안압계와 마찬가지로 각막 반흔이 있는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며, 중심 각막두께의 영향을 받는다.

적응증

특히 이 안압계는 이중 프리즘의 직경이 큰 전통적인 압평 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기 어려운 작은 실험 동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