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포비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번째 줄: 2번째 줄:
== 적응증 ==
== 적응증 ==
===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
===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
5 mg/kg 용량으로 주 1회, 2주간 유도 치료 후, 같은 용량으로 2주마다 정맥 주사한다. 반감기가 길고 2주마다 주사할 수 있어 주사 술기와 관련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나, 신독성이 나타날 수 있어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하며, [[포스카넷]]과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된다. 앞포도막염과 저안압증이 발생할 수 있고, [[면역 회복 포도막염]]의 발생과연관될 수 있어, 면역력 회복이 예상되는 환자에서는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5 mg/kg 용량으로 주 1회, 2주간 유도 치료 후, 같은 용량으로 2주마다 정맥 주사한다. 반감기가 길고 2주마다 주사할 수 있어 주사 술기와 관련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나, 신독성이 나타날 수 있어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하며, [[포스카넷]]과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된다. 앞포도막염과 저안압증이 발생할 수 있고, [[면역 회복 포도막염]]의 발생과 연관될 수 있어, 면역력 회복이 예상되는 환자에서는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참고}}
{{참고}}

2023년 4월 11일 (화) 03:30 기준 최신판

시도포비어 (cidofovir)[1]

적응증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5 mg/kg 용량으로 주 1회, 2주간 유도 치료 후, 같은 용량으로 2주마다 정맥 주사한다. 반감기가 길고 2주마다 주사할 수 있어 주사 술기와 관련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나, 신독성이 나타날 수 있어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하며, 포스카넷과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된다. 앞포도막염과 저안압증이 발생할 수 있고, 면역 회복 포도막염의 발생과 연관될 수 있어, 면역력 회복이 예상되는 환자에서는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