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눈 (eye)</b> 은 빛을 모아 초점을 맞추며, 시각 경로의 첫 신경 신호를 부호화하는 시각의 일차 감각 기관이다. 빛은 망막에 도달하기 위...)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눈 (eye)</b> 은 빛을 모아 초점을 맞추며, 시각 경로의 첫 신경 신호를 부호화하는 시각의 일차 감각 기관이다. 빛은 망막에 도달하기 위해 눈물층, 각막, 전방, 수정체, 유리체를 통과해야 한다. 각막의 상피와 간질은 투명하여 빛이 왜곡 없이 통과할 수 있다. 눈물과 공기의 경계면이나 각막은 수정체보다 굴절력이 더 크나 수정체와 달리 굴절력이 고정되어 있다. 수정체는 섬모체근에 의해 모양이 변화되므로 굴절력을 조절해 빛이 망막에 초점을 맺도록 기능한다.
'''눈 (eye)'''{{신경안과}} 은 빛을 모아 초점을 맞추며, 시각 경로의 첫 신경 신호를 부호화하는 시각의 일차 감각 기관이다. 빛은 망막에 도달하기 위해 눈물층, 각막, 전방, 수정체, 유리체를 통과해야 한다. 각막의 상피와 간질은 투명하여 빛이 왜곡 없이 통과할 수 있다<ref>Maurice DM. The transparency of the corneal stroma. ''Vision Res''. 1970 Jan;10(1):107-8. [https://pubmed.ncbi.nlm.nih.gov/5435007/ 연결]</ref>. 눈물과 공기의 경계면이나 각막은 수정체보다 굴절력이 더 크나 수정체와 달리 굴절력이 고정되어 있다. 수정체는 섬모체근에 의해 모양이 변화되므로 굴절력을 조절해 빛이 망막에 초점을 맺도록 한다. 망막에 도달하는 전체 빛의 양은 동공의 크기로 조절되며,상하좌우가 바뀐 시각 이미지가 망막에 투영된다<ref>Fishman RS. Kepler's discovery of the retinal image. ''Arch Ophthalmol''. 1973 Jan;89(1):59-61. [https://pubmed.ncbi.nlm.nih.gov/4567856/ 연결]</ref>.
== 참고 ==
{{참고}}
신경안과학 제 3판, 2017 (장봉린 외, 대한 신경안과 학회, 일조각)

2023년 6월 26일 (월) 00:19 판

눈 (eye)[1] 은 빛을 모아 초점을 맞추며, 시각 경로의 첫 신경 신호를 부호화하는 시각의 일차 감각 기관이다. 빛은 망막에 도달하기 위해 눈물층, 각막, 전방, 수정체, 유리체를 통과해야 한다. 각막의 상피와 간질은 투명하여 빛이 왜곡 없이 통과할 수 있다[2]. 눈물과 공기의 경계면이나 각막은 수정체보다 굴절력이 더 크나 수정체와 달리 굴절력이 고정되어 있다. 수정체는 섬모체근에 의해 모양이 변화되므로 굴절력을 조절해 빛이 망막에 초점을 맺도록 한다. 망막에 도달하는 전체 빛의 양은 동공의 크기로 조절되며,상하좌우가 바뀐 시각 이미지가 망막에 투영된다[3].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Maurice DM. The transparency of the corneal stroma. Vision Res. 1970 Jan;10(1):107-8. 연결
  3. Fishman RS. Kepler's discovery of the retinal image. Arch Ophthalmol. 1973 Jan;89(1):59-61.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