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 은 중추 신경계의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 생성되는 수초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로, 이에 대한 항체가 발현되면 중추 신경계에 손상을 일으켜 시신경염, 횡단 척수염과 같은 탈수초 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ref>Schluesener HJ et al. A monoclonal Ab against a MOG induces relapses and demyelination in CNS...)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 은 중추 신경계의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 생성되는 수초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 은 포유류 중추 신경계의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 생성되는 수초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 ||
== 기능 == | |||
도약 전도를 통한 빠른 신경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수초와 면역 체계 사이의 상호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ref>Podbielska M et al.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role of myelin fast-migrating cerebrosides : pathological importance in MS. ''Clin Lipidol''. 2011 Apr;6(2):159-179. [https://pubmed.ncbi.nlm.nih.gov/22701512/ 연결]</ref>. | |||
== 관련 질환 == | |||
이에 대한 항체가 발현되면 중추 신경계에 손상을 일으켜 시신경염, 횡단 척수염과 같은 탈수초 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ref>Schluesener HJ et al. A monoclonal Ab against a MOG induces relapses and demyelination in CNS autoimmune disease. ''J Immunol''. 1987 Dec 15;139(12):4016-21. [https://pubmed.ncbi.nlm.nih.gov/3500978/ 연결]</ref><ref>Lana-Peixoto MA et al. NMO Spectrum Disorder and Anti-MOG Syndromes. ''Biomedicines''. 2019 Jun 12;7(2):42. [https://pubmed.ncbi.nlm.nih.gov/31212763/ 연결]</ref>. | |||
{{참고}} | {{참고}} |
2024년 1월 29일 (월) 15:21 기준 최신판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 은 포유류 중추 신경계의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 생성되는 수초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기능
도약 전도를 통한 빠른 신경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수초와 면역 체계 사이의 상호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1].
관련 질환
이에 대한 항체가 발현되면 중추 신경계에 손상을 일으켜 시신경염, 횡단 척수염과 같은 탈수초 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2][3].
참고
- ↑ Podbielska M et al.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role of myelin fast-migrating cerebrosides : pathological importance in MS. Clin Lipidol. 2011 Apr;6(2):159-179. 연결
- ↑ Schluesener HJ et al. A monoclonal Ab against a MOG induces relapses and demyelination in CNS autoimmune disease. J Immunol. 1987 Dec 15;139(12):4016-21. 연결
- ↑ Lana-Peixoto MA et al. NMO Spectrum Disorder and Anti-MOG Syndromes. Biomedicines. 2019 Jun 12;7(2):42.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