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는 비정형 마이코박테리아의 일종으로 주로 흙, 물, 음식, 동물 등에 널리 퍼져 있는 기회 감염균이다.1,2 == 분류 == Runyon은 성장과 색소 생산에 기초하여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 I (photochromogens) : ''M. marinum'' * II (scotochromogens) : ''M. flavescens'', ''M. gordonae'', ''M. szulgai'' * III (nonchromogens) : ''M. avium-intracellulare'', ''M. asiaticum'...)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는 비정형 마이코박테리아의 일종으로 주로 흙, 물, 음식, 동물 등에 널리 퍼져 있는 기회 감염균이다.1,2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각막}} 는 비정형 마이코박테리아의 일종으로 주로 흙, 물, 음식, 동물 등에 널리 퍼져 있는 기회 감염균이다<ref>Dhiman R et al. Clinico-microbiological Profile of NTMK. ''J Ophthalmic Vis Res''. 2022 Apr 29;17(2):160-169. [https://pubmed.ncbi.nlm.nih.gov/35765635/ 연결]</ref><ref>Neha P et al. Clinical and demographic study of NTM ocular infections in South India. ''Indian J Med Microbiol''. 2021 Jan;39(1):41-47. [https://pubmed.ncbi.nlm.nih.gov/33610255/ 연결]</ref>.
== 분류 ==
== 분류 ==
Runyon은 성장과 색소 생산에 기초하여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Runyon은 성장과 색소 생산에 기초하여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8번째 줄: 8번째 줄:


I~III군은 실내 온도 배양에서 천천히 자라 군체를 형성하는데, 기간은 2~3주가 걸리며 각각은 색소 형성에 의해 구별된다. IV군은 실내 온도 배양에서 빠르게 자라 군체를 형성하는데, 기간은 3~5일이며 색소를 생산하지 않는다.
I~III군은 실내 온도 배양에서 천천히 자라 군체를 형성하는데, 기간은 2~3주가 걸리며 각각은 색소 형성에 의해 구별된다. IV군은 실내 온도 배양에서 빠르게 자라 군체를 형성하는데, 기간은 3~5일이며 색소를 생산하지 않는다.
{{참고}}

2024년 6월 8일 (토) 03:32 판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1] 는 비정형 마이코박테리아의 일종으로 주로 흙, 물, 음식, 동물 등에 널리 퍼져 있는 기회 감염균이다[2][3].

분류

Runyon은 성장과 색소 생산에 기초하여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 I (photochromogens) : M. marinum
  • II (scotochromogens) : M. flavescens, M. gordonae, M. szulgai
  • III (nonchromogens) : M. avium-intracellulare, M. asiaticum, M. nonchromogenicum, M. triviale
  • IV (rapid growers) : M. chelonae, M. fortuitum, M. abscessus, M. mucogenicum

I~III군은 실내 온도 배양에서 천천히 자라 군체를 형성하는데, 기간은 2~3주가 걸리며 각각은 색소 형성에 의해 구별된다. IV군은 실내 온도 배양에서 빠르게 자라 군체를 형성하는데, 기간은 3~5일이며 색소를 생산하지 않는다.

참고

  1.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2. Dhiman R et al. Clinico-microbiological Profile of NTMK. J Ophthalmic Vis Res. 2022 Apr 29;17(2):160-169. 연결
  3. Neha P et al. Clinical and demographic study of NTM ocular infections in South India. Indian J Med Microbiol. 2021 Jan;39(1):41-47.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