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안구 적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관련 질환) |
잔글 (→소견)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소견 == | == 소견 == | ||
도구를 이용하여 시도한 경우 안구 부속기 및 전안부 손상, 공막 열상으로 인한 안내염, 구후 출혈, 시신경 손상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도구를 이용하여 시도한 경우 안구 부속기 및 전안부 손상, 공막 열상으로 인한 안내염, 구후 출혈, 시신경 손상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 ||
== 치료 == | |||
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빠른 시간 내에 안구전위를 바로잡는 것이다. 안구 및 안와 내용물의 노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시신경의 허혈, [[노출 각막병증]], 안와 내 외안근에 작용하는 견인 장력으로 인해 예후는 더욱 나빠진다<ref>Gupta R et al. Complete globe protrusion post trauma : a case report. ''ISOR J Dent Med Sci'' 2013;6:28-9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1261026_Complete_Globe_Protrusion_Post_Trauma_A_Case_Report 연결]</ref>. 시신경과 외안근의 심각한 손상으로 안구를 재위치 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치료적 안구 제거술이 필요하다<ref>Pillai S et al. Complete evulsion of the globe and optic nerve. ''BJO''. 1987 Jan;71(1):69-72. [https://pubmed.ncbi.nlm.nih.gov/3814574/ 연결]</ref>. | |||
초기에 시신경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고용량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지만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Yaman 등<ref>Yaman A et al. Reversal of optic neuropathy secondary to voluntary globe luxation. ''J AAPOS''. 2009 Apr;13(2):210-2. [https://pubmed.ncbi.nlm.nih.gov/19157936/ 연결]</ref>은 자가 안구 적출이 불완전하여 약간의 안구 돌출과 눈꺼풀 이완이 발생한 소아 환자에서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 후 시야 결손과 시력이 회복된 사례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도수 정복이 가능한 수준의 경미한 안구 돌출이 있었던 증례로, 시신경의 손상 역시 경미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자가 안구 적출 사례에서는 견인으로 인한 시신경 손상이 발생한 환자에서 고용량 전신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였으나 시력 회복은 없었다.6 | |||
{{참고}} | {{참고}} |
2025년 8월 2일 (토) 03:11 판
자가 안구 적출 (self-enucleation)
기저 질환
정신과적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서 드물게 발생한다. 환각 증상이나 망상을 특징으로 하는 조현병, 양극성 장애[1], 약물로 인한 정신증 등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자가 안구 적출을 시도한 사례가 보고된 적이 있다[2]. 특히 종교적 혹은 성적 망상을 갖는 조현병 환자에게서 가장 흔하게 보고된다[3].
역학
유병률은 연간 2.8~4.2/10만명 으로 남성과 여성에서 동등한 비율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자가 안구 적출의 수단으로 날카로운 물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손가락으로 시도를 하기도 한다[5].
소견
도구를 이용하여 시도한 경우 안구 부속기 및 전안부 손상, 공막 열상으로 인한 안내염, 구후 출혈, 시신경 손상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
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빠른 시간 내에 안구전위를 바로잡는 것이다. 안구 및 안와 내용물의 노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시신경의 허혈, 노출 각막병증, 안와 내 외안근에 작용하는 견인 장력으로 인해 예후는 더욱 나빠진다[6]. 시신경과 외안근의 심각한 손상으로 안구를 재위치 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치료적 안구 제거술이 필요하다[7].
초기에 시신경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고용량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지만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Yaman 등[8]은 자가 안구 적출이 불완전하여 약간의 안구 돌출과 눈꺼풀 이완이 발생한 소아 환자에서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 후 시야 결손과 시력이 회복된 사례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도수 정복이 가능한 수준의 경미한 안구 돌출이 있었던 증례로, 시신경의 손상 역시 경미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자가 안구 적출 사례에서는 견인으로 인한 시신경 손상이 발생한 환자에서 고용량 전신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였으나 시력 회복은 없었다.6
참고
- ↑ Castro HM et al. A Case of Attempted Bilateral Self-Enucleation in a Patient w Bipolar Disorder. Ment Illn. 2017 Jun 26;9(1):7141. 연결
- ↑ Jones NP. Self-enucleation and psychosis. BJO. 1990 Sep;74(9):571-3. [1]
- ↑ Witherspoon CD et al. Ocular self-mutilation. Ann Ophthalmol. 1989 Jul;21(7):255-7, 259. 연결
- ↑ Fan AH. Autoenucleation :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Psychiatry (Edgmont). 2007 Oct;4(10):60-2. 연결
- ↑ Bar-Yaakov N et al. Unsuccessful self-enucleation in a schizophrenic patient. Case Rep Ophthalmol Med. 2014;2014:237214. 연결
- ↑ Gupta R et al. Complete globe protrusion post trauma : a case report. ISOR J Dent Med Sci 2013;6:28-9 연결
- ↑ Pillai S et al. Complete evulsion of the globe and optic nerve. BJO. 1987 Jan;71(1):69-72. 연결
- ↑ Yaman A et al. Reversal of optic neuropathy secondary to voluntary globe luxation. J AAPOS. 2009 Apr;13(2):210-2.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