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성 항콜린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중추성 항콜린 증후군 (central anti-cholinergic syndrome, CAS)''' 1966년 Longo<ref>Longo VG. Behavioral and electroencephalographic effects of atropine and related compounds. ''Pharmacol Rev''. 1966 Jun;18(2):965-96. [https://pubmed.ncbi.nlm.nih.gov/5328390/ 연결]</ref>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 원인 == * 아트로핀 * 스코폴라민 * hyoscine * 항히스타민제 * 삼환계 항우울제 * benzodiazepine * opiates * ketamine 등 다양한...)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중추성 항콜린 증후군 (central anti-cholinergic syndrome, CAS)''' 1966년 Longo<ref>Longo VG. Behavioral and electroencephalographic effects of atropine and related compounds. ''Pharmacol Rev''. 1966 Jun;18(2):965-96. [https://pubmed.ncbi.nlm.nih.gov/5328390/ 연결]</ref>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중추성 항콜린 증후군 (central anti-cholinergic syndrome, CAS)''' 1966년 Longo<ref>Longo VG. Behavioral and electroencephalographic effects of atropine and related compounds. ''Pharmacol Rev''. 1966 Jun;18(2):965-96. [https://pubmed.ncbi.nlm.nih.gov/5328390/ 연결]</ref>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중추의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특정 물질에 의해 차단되거나 불충분한 양의 아세틸콜린이 분비될 때 발생할 수 있다.
== 원인 ==
== 원인 ==
* [[아트로핀]]
* [[아트로핀]]

2025년 8월 5일 (화) 07:33 판

중추성 항콜린 증후군 (central anti-cholinergic syndrome, CAS) 1966년 Longo[1]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중추의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특정 물질에 의해 차단되거나 불충분한 양의 아세틸콜린이 분비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원인

등 다양한 약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2].

참고

  1. Longo VG. Behavioral and electroencephalographic effects of atropine and related compounds. Pharmacol Rev. 1966 Jun;18(2):965-96. 연결
  2. Dawson AH et al.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anticholinergic delirium - theory, evidence and practice. Br J Clin Pharmacol. 2016 Mar;81(3):516-2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