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피도 황반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역학)
16번째 줄: 16번째 줄:
안저검사상 단안에서 편평한, 비진행성의 저색소성 단일 병변으로 관찰된다<ref name=r2 />. 드물지만, 양안에서 나타나거나<ref>Richez F et al. Maculopathie en torpille bilatérale [Bilateral torpedo maculopathy]. ''J Fr Ophtalmol''. 2010 Apr;33(4):296. French. [https://pubmed.ncbi.nlm.nih.gov/20096477/ 연결]</ref> 혹은 단안에서 중심와 근처에 두 병변이 동시에 있거나<ref>Raju B et al. Torpedo maculopathy w double torpedoes. ''Indian J Ophthalmol''. 2018 Aug;66(8):1189-1190. [https://pubmed.ncbi.nlm.nih.gov/30038174/ 연결]</ref>, 저색소 경계의 과색소성 단일 병변 및 위성 병변이 동반되기도 한다<ref>Tsang T et al. Torpedo maculopathy : in-vivo histology using OCT. ''Optom Vis Sci''. 2009 Dec;86(12):E1380-5. [https://pubmed.ncbi.nlm.nih.gov/19887969/ 연결]</ref><ref>Rohl A et al. Hyperpigmented Torpedo Maculopathy w Pseudo-Lacuna: A 5y FU. ''Case Rep Ophthalmol''. 2016 May 26;7(1):184-90. [https://pubmed.ncbi.nlm.nih.gov/27462244/ 연결]</ref>.
안저검사상 단안에서 편평한, 비진행성의 저색소성 단일 병변으로 관찰된다<ref name=r2 />. 드물지만, 양안에서 나타나거나<ref>Richez F et al. Maculopathie en torpille bilatérale [Bilateral torpedo maculopathy]. ''J Fr Ophtalmol''. 2010 Apr;33(4):296. French. [https://pubmed.ncbi.nlm.nih.gov/20096477/ 연결]</ref> 혹은 단안에서 중심와 근처에 두 병변이 동시에 있거나<ref>Raju B et al. Torpedo maculopathy w double torpedoes. ''Indian J Ophthalmol''. 2018 Aug;66(8):1189-1190. [https://pubmed.ncbi.nlm.nih.gov/30038174/ 연결]</ref>, 저색소 경계의 과색소성 단일 병변 및 위성 병변이 동반되기도 한다<ref>Tsang T et al. Torpedo maculopathy : in-vivo histology using OCT. ''Optom Vis Sci''. 2009 Dec;86(12):E1380-5. [https://pubmed.ncbi.nlm.nih.gov/19887969/ 연결]</ref><ref>Rohl A et al. Hyperpigmented Torpedo Maculopathy w Pseudo-Lacuna: A 5y FU. ''Case Rep Ophthalmol''. 2016 May 26;7(1):184-90. [https://pubmed.ncbi.nlm.nih.gov/27462244/ 연결]</ref>.
* AF :  비정상적 [[망막 색소상피|RPE]]로부터 생성된 리포푸신 (lipofuscin) 으로 구성된 과형광 경계로 둘러싸인 저형광의 [[망막 색소상피|RPE]]의 위축이 특징적이다.
* AF :  비정상적 [[망막 색소상피|RPE]]로부터 생성된 리포푸신 (lipofuscin) 으로 구성된 과형광 경계로 둘러싸인 저형광의 [[망막 색소상피|RPE]]의 위축이 특징적이다.
* FA : [[망막 색소상피|RPE]]의 위축으로 형광 누출이 없는 창문 비침 (window defect) 이 관찰된다.2
* FA : [[망막 색소상피|RPE]]의 위축으로 형광 누출이 없는 창문 비침 (window defect) 이 관찰된다<ref name=r3 />.
* OCT : 타원체 구역을 포함한 외망막층의 세약과 맥락막의 위축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참고}}

2025년 9월 19일 (금) 02:35 판

토피도 황반병증 (Torpedo maculopathy, TM)[1] 은 1992년 Roseman과 Gass[2]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망막 색소상피 (RPE) 에 드물게 발생하는 저색소성의 단일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적 질환이다.

  • 황반 주변부 알비노 반점 증후군 (paramacular albinotic spot syndrome)
  • 선천성 저멜라닌 반점 (congenital hypomelanotic freckle)
  • 비정형 황반 결손증 (atypical macular coloboma)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역학

발생 빈도, 인구 분포, 발병률에 관한 데이터들도 정확히 보고된 바 없다. 선천성이지만 가족력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3].

병인

발생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발달 과정 중 수평 솔기 (horizontal raphe) 를 따라 생긴 시신경섬유층 결손, 비정상 맥락막 순환 혹은 섬모체 혈관의 발달 이상, RPE층의 선천적 결손, 임신 기간 중 발생한 태아의 맥락망막염 등 몇 가지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3-7

임상 소견

대체로 무증상이며, 주로 안과 검사 중에 우연히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개 황반부를 침범하지 않으면 시력은 정상이나 진단 시 중심 암점이나 미세 암점이 동반되기도 한다[4].

안저검사상 단안에서 편평한, 비진행성의 저색소성 단일 병변으로 관찰된다[2]. 드물지만, 양안에서 나타나거나[5] 혹은 단안에서 중심와 근처에 두 병변이 동시에 있거나[6], 저색소 경계의 과색소성 단일 병변 및 위성 병변이 동반되기도 한다[7][8].

  • AF : 비정상적 RPE로부터 생성된 리포푸신 (lipofuscin) 으로 구성된 과형광 경계로 둘러싸인 저형광의 RPE의 위축이 특징적이다.
  • FA : RPE의 위축으로 형광 누출이 없는 창문 비침 (window defect) 이 관찰된다[3].
  • OCT : 타원체 구역을 포함한 외망막층의 세약과 맥락막의 위축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2.0 2.1 Roseman RL et al. Solitary hypopigmented nevus of the RPE in the macula. Arch Ophthalmol. 1992 Oct;110(10):1358-9. 연결
  3. 3.0 3.1 Liu Y et al. Congenital focal abnormalities of the retina and RPE. Eye (Lond). 2020 Nov;34(11):1973-1988. 연결
  4. Golchet PR et al. Torpedo maculopathy. BJO. 2010 Mar;94(3):302-6. 연결
  5. Richez F et al. Maculopathie en torpille bilatérale [Bilateral torpedo maculopathy]. J Fr Ophtalmol. 2010 Apr;33(4):296. French. 연결
  6. Raju B et al. Torpedo maculopathy w double torpedoes. Indian J Ophthalmol. 2018 Aug;66(8):1189-1190. 연결
  7. Tsang T et al. Torpedo maculopathy : in-vivo histology using OCT. Optom Vis Sci. 2009 Dec;86(12):E1380-5. 연결
  8. Rohl A et al. Hyperpigmented Torpedo Maculopathy w Pseudo-Lacuna: A 5y FU. Case Rep Ophthalmol. 2016 May 26;7(1):184-90.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