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거대 유두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잔글 치료
15번째 줄: 15번째 줄:
[[콘택트렌즈|CL]] 착용 시간을 줄이는 것도 GPC 치료에 중요하다. 연속 착용 [[콘택트렌즈|CL]]를 사용하는 환자는 일일 착용 [[콘택트렌즈|CL]]로 바꿔야 하며, 일일 착용 [[콘택트렌즈|CL]]도 제한적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이후 환자의 치료 반응에 따라 착용 시간을 점차 늘려간다.
[[콘택트렌즈|CL]] 착용 시간을 줄이는 것도 GPC 치료에 중요하다. 연속 착용 [[콘택트렌즈|CL]]를 사용하는 환자는 일일 착용 [[콘택트렌즈|CL]]로 바꿔야 하며, 일일 착용 [[콘택트렌즈|CL]]도 제한적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이후 환자의 치료 반응에 따라 착용 시간을 점차 늘려간다.


렌즈의 재질이나 가장자리 디자인을 바꾸거나 주기적으로 1일주마다 [[콘태트렌즈|CL]]을 교체하는 방법이 GPC의 예방 빛 치료에 도움이 된다. 렌즈 침착물의 생성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RGP 렌즈의 직경이 더 작고 침착물이 부착되는 성질도 더 낮기 때문에 [[소프트 콘택트렌즈|SCL]]를 RGP 렌즈로 바꾸는 것도 하나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렌즈의 재질이나 가장자리 디자인을 바꾸거나 주기적으로 1주일마다 [[콘택트렌즈|CL]]을 교체하는 방법이 GPC의 예방 빛 치료에 도움이 된다. 렌즈 침착물의 생성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RGP 렌즈의 직경이 더 작고 침착물이 부착되는 성질도 더 낮기 때문에 [[소프트 콘택트렌즈|SCL]]를 RGP 렌즈로 바꾸는 것도 하나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 마이봄샘 질환 치료 ===
=== 마이봄샘 질환 치료 ===
마이봄샘 질환과 GPC와의 연관성은 아직 불명확하다. 그러나 마이봄샘 질환을 함께 치료하면 GPC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마이봄샘 질환과 GPC와의 연관성은 아직 불명확하다. 그러나 마이봄샘 질환을 함께 치료하면 GPC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2025년 11월 14일 (금) 06:19 판

거대 유두 결막염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GPC)[1] 은 위눈꺼풀판 결막을 침범하는 비감염성 염증 질환으로, 거대 유두(직경 1.0mm 이상)가 위눈꺼풀판을 따라 존재하며, 현재는 0.3mm 이상의 유두가 존재하면 이상 소견으로 간주된다.

원인

기계적인 외상과 콘택트렌즈 표면의 침착물, 환경적 요소 등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관련 있다. 외상은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RGP 콘택트렌즈, 하드 콘택트렌즈 사용과 관련이 있으나, 이외에도 녹내장의 여과포, 증가된 상피하 칼슘 플라크, 윤부 유피낭종, 노출된 각막 및 결막 봉합사, 안내 삽입물, 공막 누름조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

발병 초기에 경한 불편감, 경도의 점액분비물, 떄로는 약간의 가려움이 나타난다. 환자들은 대부분 초기에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데, 치료받지 않으면 점차 심한 증상이 나타나면서 진행된다. 렌즈 표면의 이물로 인해 시력 저하, 안쪽 눈구석의 점액 축적, 렌즈 착용 시의 지속적인 이물감이 나타나며, 렌즈 착용 시간이 줄게 된다.

임상 소견

초기에는 위눈꺼풀판 결막에 경미한 충혈이 생기고, 결막의 경미한 두꺼워짐이 동반된다.

치료

치료의 목표는 작열감, 가려움증, 과도한 점액을 경감하고 점차적으로 없애는 것이다. 이 질환의 발생 기전인 기계적 외상과 항원 자극을 조절하면 치료에 도움이 된다.

원인 제거

봉합사 끝이나 노출된 공막 누름 조각은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CL 착용도 중단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이다. 그러나 CL을 착용해야 한다면 환자의 CL 관리 방법 및 착용 일정을 바꾸어 GPC의 징후와 증상을 완화할 수도 있다.

CL의 변경, 관리

렌즈 침착물 때문에 발생한 GPC의 가장 좋은 치료법은 일일 착용 SCL이다. 비용상의 문제 혹은 특수 렌즈나 RGP 렌즈가 반드시 필요해서 일일 착용 렌즈를 사용할 수 없을 때는 적절한 표면 세척제나 매일 문지름을 시행해야 한다. 쉽게 침착물이 생기는 경우에는 1주에 3회 정도 효소 세정제를 사용해 세척한다. 세척, 행굼, 보존할 때에는 보존제의 독성을 최소화해야 하며, 과산화수소로 소독 하면 심한 결막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CL 착용 시간을 줄이는 것도 GPC 치료에 중요하다. 연속 착용 CL를 사용하는 환자는 일일 착용 CL로 바꿔야 하며, 일일 착용 CL도 제한적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이후 환자의 치료 반응에 따라 착용 시간을 점차 늘려간다.

렌즈의 재질이나 가장자리 디자인을 바꾸거나 주기적으로 1주일마다 CL을 교체하는 방법이 GPC의 예방 빛 치료에 도움이 된다. 렌즈 침착물의 생성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RGP 렌즈의 직경이 더 작고 침착물이 부착되는 성질도 더 낮기 때문에 SCL를 RGP 렌즈로 바꾸는 것도 하나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마이봄샘 질환 치료

마이봄샘 질환과 GPC와의 연관성은 아직 불명확하다. 그러나 마이봄샘 질환을 함께 치료하면 GPC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약물 치료

예후

예후는 좋은 편이다. 이 질환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시력이 소실된 예는 보고된 바 없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CL 착용을 중지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이 질환은 증상에 대해 일찍 인지하고 적극적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한 경우는 렌즈 관리나 렌즈 착용 일정의 변화만으로도 좋아질 수 있다. 진행된 경우 렌즈 사용을 중지하고 단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언제든 재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참고

  1.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