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유두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임상 소견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거대 유두 결막염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GPC)'''{{각막}} 은 위눈꺼풀판 결막을 침범하는 비감염성 염증 질환으로, 거대 유두(직경 1.0mm 이상)가 위눈꺼풀판을 따라 존재하며, 현재는 0.3mm 이상의 유두가 존재하면 이상 소견으로 간주된다. | '''거대 유두 결막염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GPC)'''{{각막}} 은 위눈꺼풀판 결막을 침범하는 비감염성 염증 질환으로, 거대 유두(직경 1.0mm 이상)가 위눈꺼풀판을 따라 존재하며, 현재는 0.3mm 이상의 유두가 존재하면 이상 소견으로 간주된다. | ||
== 역학 == | |||
[[콘택트렌즈|CL]]와 연관된 GPC는 [[콘택트렌즈|CL]] 형태, 착용 일정, 세척법, 착용 시간 등이 유병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SCL]] 착용자의 1~5%, [[하드 콘택트렌즈|HCL]] 착용자의 1%에서 GPC의 임상적 징후 혹은 증상이 나타난다. 연속 착용 [[콘택트렌즈|CL]] 사용자의 유병률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일일 착용 [[콘택트렌즈|CL]] 사용자보다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소프트 콘택트렌즈|SCL]] 사용자에서는 평균 8개월 안에 발생하며,[[하드 콘택트렌즈|HCL]] 사용자에서는 평균 8년으로 보고되지만, [[소프트 콘택트렌즈|SCL]] 사용 후 3주 만에 발생할 수도 있고 [[하드 콘택트렌즈|HCL]]에서는 14개월 만에 발생하기도 한다. | |||
== 원인 == | == 원인 == | ||
기계적인 외상과 콘택트렌즈 표면의 침착물, 환경적 요소 등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관련 있다. 외상은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RGP 콘택트렌즈, 하드 콘택트렌즈 사용과 관련이 있으나, 이외에도 녹내장의 여과포, 증가된 상피하 칼슘 플라크, 윤부 유피낭종, 노출된 각막 및 결막 봉합사, 안내 삽입물, 공막 누름조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기계적인 외상과 콘택트렌즈 표면의 침착물, 환경적 요소 등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관련 있다. 외상은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RGP 콘택트렌즈, 하드 콘택트렌즈 사용과 관련이 있으나, 이외에도 녹내장의 여과포, 증가된 상피하 칼슘 플라크, 윤부 유피낭종, 노출된 각막 및 결막 봉합사, 안내 삽입물, 공막 누름조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