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큐 편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원인)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교차 후인 다리뇌-중뇌 뇌간의 병변 : 반대쪽 안구의 하사시 | * 교차 후인 다리뇌-중뇌 뇌간의 병변 : 반대쪽 안구의 하사시 | ||
* 안쪽 세로 다발, 입쪽 중뇌 또는 Cajal 사이질핵 병변 : 반대쪽으로의 머리 기울임 | * 안쪽 세로 다발, 입쪽 중뇌 또는 Cajal 사이질핵 병변 : 반대쪽으로의 머리 기울임 | ||
분류 | == 분류 == | ||
* 교대 스큐 편위 : 주시 방향에 따라 상사시가 바뀌는, 즉 외전된 눈에 상사시가 나타나고 내전을 하면 하사시가 되는 것이다. | * 교대 스큐 편위 : 주시 방향에 따라 상사시가 바뀌는, 즉 외전된 눈에 상사시가 나타나고 내전을 하면 하사시가 되는 것이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핵간 안근 마비와 동반될 때는 병변쪽의 눈이 상사시이고 동반되지 않을 때는 하사시일 때가 많다. | 핵간 안근 마비와 동반될 때는 병변쪽의 눈이 상사시이고 동반되지 않을 때는 하사시일 때가 많다. |
2020년 3월 19일 (목) 12:56 기준 최신판
스큐 편위 (skew deviation) 의 사전적 의미는 '주로 뇌간이나 소뇌의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특징적인 활차 신경 또는 상사근의 손상 양상에 맞지 않는 비교적 일치성의 후천성 상사시'로 후두와 병변이라는 것 외에는 진단적 가치가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한 눈이 올라가고 다른 눈은 내려가는 일시적인 수직 이향 움직임이 뇌간, 소뇌, 전정기관 병변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원인
이석 입력의 불균형을 일으키는 중추 또는 말초 병변으로 인한다. 중뇌, 교뇌, 연수 등의 뇌간 병변 또는 소뇌 질환이 있을 때 발생한다.
- 교차 전인 편측의 말초 전정 기관 또는 다리뇌-연수 병변 : 같은쪽 안구의 하사시
- 교차 후인 다리뇌-중뇌 뇌간의 병변 : 반대쪽 안구의 하사시
- 안쪽 세로 다발, 입쪽 중뇌 또는 Cajal 사이질핵 병변 : 반대쪽으로의 머리 기울임
분류
- 교대 스큐 편위 : 주시 방향에 따라 상사시가 바뀌는, 즉 외전된 눈에 상사시가 나타나고 내전을 하면 하사시가 되는 것이다.
임상 소견
핵간 안근 마비와 동반될 때는 병변쪽의 눈이 상사시이고 동반되지 않을 때는 하사시일 때가 많다. 검사 및 진단
- upright-supine test : 머리가 곧게 선 자세에서 누웠을 때 사시각이 50% 이상 감소하면 스큐 편위를 의심하며 17명의 스큐 편위 환자, 40명의 상사근 마비 환자, 25명의 다른 수직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76%의 민감도와 100%의 특이도를 보였다고 하였다.
감별 진단
- 수직근 마비 : 사시각이 수직으로 불일치 하는 경우 감별해야 하는데, 스큐 편위는 다른 신경 증상과 동반되어 있고 좌우 주시 시 일치성인 경우 머리 기울임 검사에서 수직근 마비의 임상 증상과 맞지 않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 상사근 마비 :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경우 감별이 어렵고 Parks 3-step 검사에서도 구분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사근 마비가 오래되어 일치의 확산이 생긴 경우 비슷하게 보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안저 사진 촬영이나 이중 Maddox 막대 검사를 통해 안구 회선의 방향이 상사근 마비는 상사시안이 외회선, 스큐 편위의 경우 상사시안이 내회선을 보임으로 구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수술적 치료
대부분 일시적이므로 치료는 필요하지 않으나 만성적일 때는 상사근 힘줄 연장술과 보툴리눔 독소 화학 신경지배 제거술로 복시를 제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