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두 결막열: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인두 결막열 (pharyngoconjunctival fever; PCF) " == 역학 == <span style='color:blue;'>단안 증상 발현 후 약 3일이 지나면 반대편 눈에 발현</span>하고, 먼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인두 결막열 (pharyngoconjunctival fever; PCF)
인두 결막열 (pharyngoconjunctival fever; PCF)
"
== 역학 ==
== 역학 ==
<span style='color:blue;'>단안 증상 발현 후 약 3일이 지나면 반대편 눈에 발현</span>하고, 먼저 발병한 눈의 증상이 더 심하다.
<span style='color:blue;'>단안 증상 발현 후 약 3일이 지나면 반대편 눈에 발현</span>하고, 먼저 발병한 눈의 증상이 더 심하다.

2020년 4월 28일 (화) 00:41 판

인두 결막열 (pharyngoconjunctival fever; PCF)

역학

단안 증상 발현 후 약 3일이 지나면 반대편 눈에 발현하고, 먼저 발병한 눈의 증상이 더 심하다.

원인

주 혈청형은 adenovirus 3,4,7, 부 혈청형은 1,2,5,14 이다. 전염성이 강하며, 전염 경로는 직접 접촉, 매개물, 수영장 물 등이다.

증상

특징적으로 인후염, 여포 결막염, 발열, 림프절염 등이 나타난다. 동반 증상으로 설사, 비염이 나타날 수 있으며, 초기에 심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점점 경해지면서 2주 정도 지속된다. 감염 후 6~9일 후 증상이 나타나며, 인후염은 경한 목의 통증부터 삼키기 힘든 경우까지 다양하게 발현된다.

임상 소견

눈의 자극감이 있고, 물 같은 장액성 삼출물이 다량 분비되어 눈꺼풀을 들러붙게 하며, 결막 충혈, 점상 각막염이 생길 수 있으나 상피하 혼탁은 흔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