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 기름: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제거)
22번째 줄: 22번째 줄:
* 굴절 변화 : <span style='color:blue;'>수정체안에서는 실리콘 기름이 수정체 뒤에서 오목한 표면을 형성하여 오목 렌즈 효과를 나타내므로 안구가 원시화 되게 한다. 하지만 무수정체안에서는 반대로 실리콘 기름이 볼록 렌즈 효과를 나타내므로 안구의 굴절값을 근시쪽으로 이동</span>시킨다.
* 굴절 변화 : <span style='color:blue;'>수정체안에서는 실리콘 기름이 수정체 뒤에서 오목한 표면을 형성하여 오목 렌즈 효과를 나타내므로 안구가 원시화 되게 한다. 하지만 무수정체안에서는 반대로 실리콘 기름이 볼록 렌즈 효과를 나타내므로 안구의 굴절값을 근시쪽으로 이동</span>시킨다.
== 제거 ==
== 제거 ==
실리콘 기름은 생체 내에서 분해, 흡수되지 않는 이물질이므로 망막이 해부학적으로 완전히 재유착되고, 증식 과정이 멈춘 경우에는 되도록 빨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눈속에 잔류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백내장 발생, 실리콘 유화 및 녹내장 등의 합병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기름의 제거 시기는 3~6개월이 선호되고 있으나 짧게는 3주 후에도 제거할 수 있다. 심한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에 대해서는 최소한 8주가 요구되며 1년 이상 장기간 잔류시키는 경우도 있다.{{br}}제거 방법은 관류를 시행하면서 큰 공막창을 통해 관류압에 의해 실리콘 기름을 수동으로 배출하는 방법이 있으나 20G의 짧은 테프론침을 주사기에 연결하여 흡인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큰 공막창을 만들 필요가 없어 바림직하다. 그러나 제거 후에도 실 리콘 기름 방울의 일부가 유리체강 내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으며,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 한 유리체강 내에 남은 일부의 실리콘 기름 방울을 반드시 제거할 필요는 없다.
실리콘 기름은 생체 내에서 분해, 흡수되지 않는 이물질이므로 망막이 해부학적으로 완전히 재유착되고, 증식 과정이 멈춘 경우에는 되도록 빨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눈속에 잔류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백내장 발생, 실리콘 유화 및 녹내장 등의 합병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기름의 제거 시기는 3~6개월이 선호되고 있으나 짧게는 3주 후에도 제거할 수 있다. 심한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에 대해서는 최소한 8주가 요구되며 1년 이상 장기간 잔류시키는 경우도 있다.{{br}}제거 방법은 관류를 시행하면서 큰 공막창을 통해 관류압에 의해 실리콘 기름을 수동으로 배출하는 방법이 있으나 20G의 짧은 테프론침을 주사기에 연결하여 흡인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큰 공막창을 만들 필요가 없어 바림직하다. 그러나 제거 후에도 실 리콘 기름 방울의 일부가 유리체강 내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으며,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 한 유리체강 내에 남은 일부의 실리콘 기름 방울을 반드시 제거할 필요는 없다.
{{참고|망막}}
{{참고|망막}}

2020년 6월 4일 (목) 07:36 판

실리콘 기름 (silicone oil; SO)

특성

  • 굴절률 : 1.414인 투명한 물질로서 굴절은 수정체에 가까워 무수정체안에서는 방울의 앞쪽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인해 눈의 굴절력을 높이게 되어 도움이 되는 반면 유수정체안이나 후방 인공수정체의 후면이 볼록 렌즈인 경우에 실리콘 기름을 주입한 경우에는 후면의 굴절도가 제거되어 5~9D의 원시화가 된다.
  • 비중 : 0.97로 물보다 가벼우므로 실리콘 기름 방울은 위로 뜨는 부력으로 망막과 접촉한다

적응증

  • 심한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합병된 망막 박리
  • 심한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의 합병증
  • 황반 원공에 의한 망막 박리, 특발성 황반 원공, 외상성 황반 원공에서 가스 충전물로 수술 후 실패한 경우
  • 거대 망막 열공, 맥락막 결손증으로 인한 망막 박리, 저안압증을 동반한 만성 포도막염, 감염성 망막염, 외상, 안내염 등

주입 방법

  1. 실리콘 기름 주입 : 점성이 높아서 주입 기구를 사용하거나 실리콘 기름을 담은 10ml 주사기에 길이를 4mm로 절단한 20게이지 테프론 침을 사용하면 눈 속 주입이나 제거가 쉽다.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 시에는 10ml 주사기를 삽입관에 직접 연결하여 주입하면 된다.
  2. 공기-실리콘 기름 치환 : 망막하액의 내배액과 함께 액체-공기 치롼 후 공기-실리콘 기름 치환을 하여 실리콘 기름을 수술 후의 충전 물질로 사용한다.
  3. 과불화탄소액-실리콘 기름 치환 : 과불화탄소액에 의해 망막이 이미 펴져 있는 상태인 것을 제외하고는 액체-실리콘 기름 치환과 비슷하다. 변형된 기술로 '샌드위치' 방법이 있으며 망막 열공이 매우 뒤쪽이나 매우 앞쪽에 있지 않은 경우 특히 도움이 된다.

합병증

  • 맥락막 상강 실리콘 기름
  • 망막하 실리콘 기름
  • 수술 중 광학적인 문제 : 작은 동공의 경우 기름이 볼록 렌즈 모양으로 튀어나와 굴절값을 다르게 하여 상의 왜곡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전방을 일시적으로 실리콘 기름으로 채워 볼록 렌즈 효과를 제거한다.
  • 실리콘 기름의 전방 유입
  • 각막병증
  • 녹내장
  • 저안압
  • 굴절 변화 : 수정체안에서는 실리콘 기름이 수정체 뒤에서 오목한 표면을 형성하여 오목 렌즈 효과를 나타내므로 안구가 원시화 되게 한다. 하지만 무수정체안에서는 반대로 실리콘 기름이 볼록 렌즈 효과를 나타내므로 안구의 굴절값을 근시쪽으로 이동시킨다.

제거

실리콘 기름은 생체 내에서 분해, 흡수되지 않는 이물질이므로 망막이 해부학적으로 완전히 재유착되고, 증식 과정이 멈춘 경우에는 되도록 빨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눈속에 잔류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백내장 발생, 실리콘 유화 및 녹내장 등의 합병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기름의 제거 시기는 3~6개월이 선호되고 있으나 짧게는 3주 후에도 제거할 수 있다. 심한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에 대해서는 최소한 8주가 요구되며 1년 이상 장기간 잔류시키는 경우도 있다.
  제거 방법은 관류를 시행하면서 큰 공막창을 통해 관류압에 의해 실리콘 기름을 수동으로 배출하는 방법이 있으나 20G의 짧은 테프론침을 주사기에 연결하여 흡인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큰 공막창을 만들 필요가 없어 바림직하다. 그러나 제거 후에도 실 리콘 기름 방울의 일부가 유리체강 내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으며,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 한 유리체강 내에 남은 일부의 실리콘 기름 방울을 반드시 제거할 필요는 없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