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발이 안검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사면발이 안검염 (Phthiriasis palpebrarum)</b> 은 ciliary phthiriasis라고도 불린다. == 감염 == 사면발니이 감염은 주로 성관계나 감염된 부모와 아...)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사면발이 안검염 (Phthiriasis palpebrarum)</b> 은 ciliary phthiriasis라고도 불린다.
<b>사면발이 안검염 (Phthiriasis palpebrarum)</b> 은 phthiriasis ciliaris 혹은 ciliary phthiriasis 라고도 불린다.
== 감염 ==
== 감염 ==
사면발니이 감염은 주로 성관계나 감염된 부모와 아이의 접촉에 의해 생긴다. 옷이나 수건 등에 의한 간접적 전파도 일어날 수 있지만 이를 부정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사면발니이 감염은 주로 성관계나 감염된 부모와 아이의 접촉에 의해 생긴다. 옷이나 수건 등에 의한 간접적 전파도 일어날 수 있지만 이를 부정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2020년 12월 10일 (목) 04:33 기준 최신판

사면발이 안검염 (Phthiriasis palpebrarum) 은 phthiriasis ciliaris 혹은 ciliary phthiriasis 라고도 불린다.

감염

사면발니이 감염은 주로 성관계나 감염된 부모와 아이의 접촉에 의해 생긴다. 옷이나 수건 등에 의한 간접적 전파도 일어날 수 있지만 이를 부정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역학

유병률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2~10% 정도로 생각되나 이 수치는 과소 평가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사면발이 안검증은 주로 소아에서 진단되는데 생후 21개월 된 어린아이에서 보고 된 바도 있다.

임상 양상

이의 침에 대한 피부의 과민반응으로 인한 안검의 가려움증이 주이고 그 외 이물감, 타는 느낌, 통증 등이 있다. 세극등 검사상 사면발니 알 (nits) 이 눈썹에 위치한 것이 보이고 이가 반투명한 구조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눈꺼풀의 홍진과 부종, 결막 충혈, 사면발이에 의해 피가 빨린 부위 에서 2차적으로 피딱지 등을 볼 수 있다. 이의 변은 작은 갈색 낱알처럼 보인다. 일반적으로 양안이 감염되고 상안검이 좀 더 자주 감염된다. 귀앞 림프절병증이 보여질 수도 있다.

감별 진단

  • 앞쪽 안검염 : 지루성 안검염, 포도상구균 안검염, 주사 안검염, 모낭충염
  • 진드기 유충

치료

포셉으로 사면발이와 알을 제거하는 것이고 눈썹을 잘라내는 방법도 도움이 된다. 보툴리눔 독소를 속눈썹에 바르면 사면발이가 마비를 일으켜 물리적 제거를 하기가 더 쉬워진다고 한다. Yellow mercuric oxide ophthalmic ointment (older pub- lications), parasympathomimetic agents (physostigmine, pilocarpine), 20% fluorescein, liquid petrolatum ointment 등이 사면발이와 알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으며, natural pyrethrins, pyrethroids, malathion, lindane 같은 국소 항기생충 약을 쓸 수 있다. 그 외 냉동요법, 아르곤 레이저 요법 등이 있고 경구 ivermectin으로 호전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사면발이증인 경우 침대, 침구, 베개, 수건 등을 세척하고 말려야 한다.

참고

  • 아이피트 (eyefit) 49호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