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삼투압 약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분류)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고삼투압 약제 (hyperosmotic agent) 는 경구 또는 정맥 내로 투여하여 단기간 내에 안압 상승을 치료하는 약제로, 탄산툴수효소 억제제와는 달리 대체로 급성 폐쇄각 녹내장이나 위험할 정도로 안압이 높은 이차 녹내장과 같은 응급한 상황에서 단기간 동안만 사용된다. 또 한 가지 용도는 일부 안내 수술 전에 안압을 강하시킬 목적으로 유리체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범주에 속하는 약제들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은 일부 뚜렷한 경우를 제외하면 유사하다. | '''고삼투압 약제 (hyperosmotic agent)'''{{녹내장}} 는 경구 또는 정맥 내로 투여하여 단기간 내에 안압 상승을 치료하는 약제로, 탄산툴수효소 억제제와는 달리 대체로 급성 폐쇄각 녹내장이나 위험할 정도로 안압이 높은 이차 녹내장과 같은 응급한 상황에서 단기간 동안만 사용된다. 또 한 가지 용도는 일부 안내 수술 전에 안압을 강하시킬 목적으로 유리체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범주에 속하는 약제들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은 일부 뚜렷한 경우를 제외하면 유사하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 유리체 용적 감소 : 안압 하강은 유리체 용적 감소 때문이다. 기전은 혈액과 안조직 사이의 삼투압차인 것으로 생각된다. | * 유리체 용적 감소 : 안압 하강은 유리체 용적 감소 때문이다. 기전은 혈액과 안조직 사이의 삼투압차인 것으로 생각된다.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모든 고삼투압제 투여로 기타 여러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정맥 주사용 약제로 더 심한 기타 부작용으로는 두통, 요통, 어지러움, 설사, 혼란, 혼미, 오한, 발열, 심혈관 과부하, 뇌출혈, 폐부종, 산증 및 신부전 등이 있다. | 모든 고삼투압제 투여로 기타 여러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정맥 주사용 약제로 더 심한 기타 부작용으로는 두통, 요통, 어지러움, 설사, 혼란, 혼미, 오한, 발열, 심혈관 과부하, 뇌출혈, 폐부종, 산증 및 신부전 등이 있다. | ||
{{참고}} |
2022년 1월 17일 (월) 13:15 기준 최신판
고삼투압 약제 (hyperosmotic agent)[1] 는 경구 또는 정맥 내로 투여하여 단기간 내에 안압 상승을 치료하는 약제로, 탄산툴수효소 억제제와는 달리 대체로 급성 폐쇄각 녹내장이나 위험할 정도로 안압이 높은 이차 녹내장과 같은 응급한 상황에서 단기간 동안만 사용된다. 또 한 가지 용도는 일부 안내 수술 전에 안압을 강하시킬 목적으로 유리체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범주에 속하는 약제들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은 일부 뚜렷한 경우를 제외하면 유사하다.
병태 생리
- 유리체 용적 감소 : 안압 하강은 유리체 용적 감소 때문이다. 기전은 혈액과 안조직 사이의 삼투압차인 것으로 생각된다.
- 시상하부-신경설 : 시상하부 내의 삼투수용체가 시신경 내에 있는 원심성 섬유를 통하여 방수 생산을 변화시킨다는 설이 있다.
- 섬모체 상피의 변화 : 전방 내에 주사하면 혈액-방수 장벽을 파괴시키고, 비색소성 삼모체 상피세포의 파괴도 일어난다. 그러나 정맥 주사를 한 경우에는 같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분류
부작용 및 합병증
- 오심과 구토 : 특히 경구 투여하는 액체성의 약제에서 자주 보는 부작용인데 지나친 단맛 때문일 것이다. 이 증상은 일시적이고 후유증을 남기지 않으나 수술 중에 발생하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오심은 얼음이나 새큼한 맛을 첨가하여 투약하면 줄일 수 있다.
- 이뇨 작용 : 고삼투압제 치료로 인한 기본적인 반응이며 정맥 내로 투여할 때 특히 문제가 된다. 일부 예에서는 수술 중에 대량의 이뇨 효과 때문에 요도관을 사용해야 한다.
모든 고삼투압제 투여로 기타 여러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정맥 주사용 약제로 더 심한 기타 부작용으로는 두통, 요통, 어지러움, 설사, 혼란, 혼미, 오한, 발열, 심혈관 과부하, 뇌출혈, 폐부종, 산증 및 신부전 등이 있다.
참고
- ↑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