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스타노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리간드||수용체||결합된 G 단백질||작용 약제 | !||||리간드||수용체||결합된 G 단백질||작용 약제 | ||
|- | |- | ||
|rowspan= | |rowspan=9|프로스타노이드 | ||
|rowspan= | |rowspan=8|프로스타글란딘 | ||
|PGF2α||FP||Gq||[[라타노프로스트]]<br />[[트라보프로스트]]<br />[[비마토프로스트]]<br />[[타플루프로스트]] | |PGF2α||FP||Gq||[[라타노프로스트]]<br />[[트라보프로스트]]<br />[[비마토프로스트]]<br />[[타플루프로스트]] | ||
|- | |- |
2022년 1월 28일 (금) 05:23 판
종류
- 프로스타글란딘 : 염증, 과민증 반응의 매개체
- thromboxane : 혈관 수축의 매개체
- prostacyclin
수용체[1]
- FP 수용체 : 리간드 PGF2α
- EP1-4 수용체 : 리간드 PGE2
- DP1-2 수용체 : 리간드 PGD2
- IP 수용체 : 리간드 PGI2
- TP 수용체 : 리간드 TxA2
리간드 | 수용체 | 결합된 G 단백질 | 작용 약제 | ||
---|---|---|---|---|---|
프로스타노이드 | 프로스타글란딘 | PGF2α | FP | Gq | 라타노프로스트 트라보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타플루프로스트 |
PGE2 | EP1 | Gq | |||
EP2 | Gs | 오미데네팍 | |||
EP3 | Gs, Gi, Gq | ||||
EP4 | Gs | ||||
PGI2 | IP | Gs | |||
PGD2 | DP1 | Gs | |||
DP2 | Gi, Gq | ||||
TXA2 | T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