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피라메이트: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1996년에 미국 FDA의 공인 허가를 받았으며, 난치성 부분 간질에 추가 치료제로서 그 효과가 증명되었다<ref>Kockelmann E et al. Significant improvement in frontal lobe associated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after withdrawal of topiramate in epilepsy patients. ''Epilepsy Res''. 2003 May;54(2-3):171-8. [https://pubmed.ncbi.nlm.nih.gov/12837568/ 연결]</ref>. 약리학적으로는 세포내에서 kainite 유발 전위를 억제하고 GABA 활성을 증강시키며 voltage activated sodium channel과 calcium channel을 억제하고 carbonic anhydrase isoenzyme을 억제하는 등 최소한 5가지의 독립적인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발작 형태에도 광범위한 효과를 나타낸다<ref>Bourgeois BF.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topiramate. ''J Child Neurol''. 2000;15 Suppl 1:S27-30. [https://pubmed.ncbi.nlm.nih.gov/11218054/ 연결]</ref>. 뿐만 아니라 편두통의 예방 및 비만과 제 2형 당뇨병의 치료에도 사용되며, 용량 반응 체중 감량의 효과가 있다<ref>Richard D et al. Influence of topiramate in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Nutrition''. 2000 Oct;16(10):961-6. [https://pubmed.ncbi.nlm.nih.gov/11054602/ 연결]</ref><ref>Richard D et al. The effects of topiramate and sex hormones on energy balance of male and female rat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 Mar;26(3):344-53. [https://pubmed.ncbi.nlm.nih.gov/11896489/ 연결]</ref>. | 1996년에 미국 FDA의 공인 허가를 받았으며, 난치성 부분 간질에 추가 치료제로서 그 효과가 증명되었다<ref>Kockelmann E et al. Significant improvement in frontal lobe associated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after withdrawal of topiramate in epilepsy patients. ''Epilepsy Res''. 2003 May;54(2-3):171-8. [https://pubmed.ncbi.nlm.nih.gov/12837568/ 연결]</ref>. 약리학적으로는 세포내에서 kainite 유발 전위를 억제하고 GABA 활성을 증강시키며 voltage activated sodium channel과 calcium channel을 억제하고 carbonic anhydrase isoenzyme을 억제하는 등 최소한 5가지의 독립적인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발작 형태에도 광범위한 효과를 나타낸다<ref>Bourgeois BF.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topiramate. ''J Child Neurol''. 2000;15 Suppl 1:S27-30. [https://pubmed.ncbi.nlm.nih.gov/11218054/ 연결]</ref>. 뿐만 아니라 편두통의 예방 및 비만과 제 2형 당뇨병의 치료에도 사용되며, 용량 반응 체중 감량의 효과가 있다<ref>Richard D et al. Influence of topiramate in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Nutrition''. 2000 Oct;16(10):961-6. [https://pubmed.ncbi.nlm.nih.gov/11054602/ 연결]</ref><ref>Richard D et al. The effects of topiramate and sex hormones on energy balance of male and female rat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 Mar;26(3):344-53. [https://pubmed.ncbi.nlm.nih.gov/11896489/ 연결]</ref>. | ||
== 합병증 == | == 합병증 == | ||
[[섬모체-맥락막 삼출 증후군]] 참고 | |||
{{참고}} | {{참고}} |
2022년 2월 18일 (금) 04:51 판
토피라메이트 (topiramate)는 다양한 약리 기전을 가진 광범위 항간질 치료제로서 편두통, 양극성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대상포진 후 신경통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1].
효과
1996년에 미국 FDA의 공인 허가를 받았으며, 난치성 부분 간질에 추가 치료제로서 그 효과가 증명되었다[2]. 약리학적으로는 세포내에서 kainite 유발 전위를 억제하고 GABA 활성을 증강시키며 voltage activated sodium channel과 calcium channel을 억제하고 carbonic anhydrase isoenzyme을 억제하는 등 최소한 5가지의 독립적인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발작 형태에도 광범위한 효과를 나타낸다[3]. 뿐만 아니라 편두통의 예방 및 비만과 제 2형 당뇨병의 치료에도 사용되며, 용량 반응 체중 감량의 효과가 있다[4][5].
합병증
참고
- ↑ Ziemann U. Pharmacology of TMS. Suppl Clin Neurophysiol. 2003;56:226-31. 연결
- ↑ Kockelmann E et al. Significant improvement in frontal lobe associated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after withdrawal of topiramate in epilepsy patients. Epilepsy Res. 2003 May;54(2-3):171-8. 연결
- ↑ Bourgeois BF.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topiramate. J Child Neurol. 2000;15 Suppl 1:S27-30. 연결
- ↑ Richard D et al. Influence of topiramate in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Nutrition. 2000 Oct;16(10):961-6. 연결
- ↑ Richard D et al. The effects of topiramate and sex hormones on energy balance of male and female rat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 Mar;26(3):344-53.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