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눈물관 스텐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번째 줄: 6번째 줄:
양쪽 눈물소관 스텐트는 위, 아래 눈물소관을 통과하고 일반적으로 폐쇄된 회로를 만든다. 위쪽 또는 아래쪽 눈물소관을 통해 삽입되어 공통 눈물소관 또는 눈물 주머니를 연결한다.
양쪽 눈물소관 스텐트는 위, 아래 눈물소관을 통과하고 일반적으로 폐쇄된 회로를 만든다. 위쪽 또는 아래쪽 눈물소관을 통해 삽입되어 공통 눈물소관 또는 눈물 주머니를 연결한다.
==== 크로포드 (Crawford) 스텐트 ====
==== 크로포드 (Crawford) 스텐트 ====
{{틀:외부사진
{{외부사진
|주소=https://webeye.ophth.uiowa.edu/eyeforum/tutorials/Stents/Fig3b-Crawford-LRG.jpg
|주소=https://webeye.ophth.uiowa.edu/eyeforum/tutorials/Stents/Fig3b-Crawford-LRG.jpg
|제목=금속 더듬자에 연결된 Crawford 도식
|제목=금속 더듬자에 연결된 Crawford 도식

2022년 3월 2일 (수) 08:11 기준 최신판

코눈물관 스텐트 (nasolacrimal stent, NLD stent)[1] 는 작은 직경의 관으로 코눈물관 내에서 개방을 유지하는 기구이다. CIS (canaliculus intubation set) 라고도 부른다.

역사

처음 개발된 스텐트는 은색 철선 (wire) 이었고 1932년 Graue 가 처음 사용헀다. 이후 실크,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었다.

종류

양쪽 눈물소관 (bicanalicular) 스텐트

양쪽 눈물소관 스텐트는 위, 아래 눈물소관을 통과하고 일반적으로 폐쇄된 회로를 만든다. 위쪽 또는 아래쪽 눈물소관을 통해 삽입되어 공통 눈물소관 또는 눈물 주머니를 연결한다.

크로포드 (Crawford) 스텐트

{{{1}}}

리틀렝 (Ritleng) 스텐트

Pigtail/Donut 스텐트

Keneka Lacriflow stent

한쪽 눈물소관 (monocanalicular) 스텐트

모노카 (Monoka) 스텐트

이 실리콘 스텐트는 한쪽 끝에 있는 마개/뚜껑 으로 눈물점에 고정된다. 제 위치에 있기 위해서 봉합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일부 술자들은 스텐트의 입구 부분을 눈꺼풀에 봉합하기도 한다. 이 스텐트는 코눈물관 폐쇄, 눈물소관 폐쇄, 눈물소관 열상 등에서 사용된다.

존스 관 (Jones tube)

Crawford 관을 이용한 수술 방법

  1. 실리콘관을 삽입할 때에는 먼저 혈관 수축제를 적신 거즈나 면봉을 아래 코선반 밑으로 잘 위치시켜 비점막과 아래 코선반의 혈관을 충분히 수축시켜 놓아야 한다.
  2. 올리브 모양의 팁을 가진 Crawford 관의 눈물길 더듬자가 잘 통과하도록 눈물점을 조심스럽게 확장시키는데, 눈물점이 좀은 환자에서는 때로 one-snip 눈물점 성형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3. 실리콘관에 달려있는 눈물길 더듬자를 눈물길에 삽입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더듬자 검사의 과정과 같으며 눈물길을 통과한 더듬자는 아래코선반 아래의 앞쪽 1/3 지점으로 나오게 된다.
  4. 비경과 헤드라이트를 이용해 아래코선반의 아래로 나온 눈물길 더듬자의 올리브팁을 확인하는데 좌측 코안의 가장 바깥쪽 아래 부분을 볼 때에 술자는 환자의 우측에 서서 들여다보는 것이 눈물길 더듬자를 찾는데 유리하다. Crawford 훅으로 눈물길 더듬자를 걸어 살짝 조금만 뒤로 빼내면 눈물길 더듬자의 올리브 팁이 훅에 맞물려 걸리게 된다.

수술 후 경과

삽입한 실리콘관은 특별한 부작용이 없는 한 보통 6개월간 놓아 두는데, 눈물은 삽입한 실리콘관 주변을 따라 잘 배출되나 점액은 약간 고이는 경향이 있다.

제거

Crawford

눈물점 또는 비강내로 접근하여 제거할 수 있는데, 제거하는 동안 스텐트가 찢어지는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비강내 접근이 선호된다.

Ritleng

Crawford 와 비슷한 방법으로 제거한다.

Pigtail

봉합이 눈물점 밖으로 노출되도록 돌리고, 봉합사를 자른 후, 스텐트와 봉합을 당겨 제거한다.

Kaneka

눈물점 사이의 노출된 스텐트를 당겨서 제거한다.

Monoka

Jones 관

관 주위를 싸고 있는 봉합을 제거하고, 포셉으로 관을 당겨 제거한다.

부작용

  • 실리콘관의 이탈 : 저절로 또는 환자가 눈을 비비는 경우에 이 실리콘관의 위쪽 고리가 안쪽 눈구석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는데, 일단 빠져 나온 실리콘관은 코눈물관내로 올라와있는 매듭 때문에 다시 밀어도 잘 들어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이탈을 막기 위하여 망막 수술용 실리콘 스폰지를 작게 잘라 실리콘관을 스폰지에 통과시켜주어 묶거나, 또는 아래쪽 매듭을 코사이막이나 콧방울 연골에 봉합하여 눈쪽에서 실리콘관을 당겨도 코눈물관 안으로 당겨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 눈물점의 손상 : 과도하게 팽팽한 스텐트는 눈물점의 변형 또는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육아종 형성
  • 잘못된 길을 형성하면서 눈물소관의 손상 : 이것은 스텐트 삽입 전의 코눈물길 더듬자 검사 (probing) 또는 삽입하는 스텐트의 금속 부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코눈물관 체계의 감염 :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NTM) 같은 미생물 형성과 연관이 되어 있다.

참고

  1.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