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일 연구 (2011-2013):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결과)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남한의 시골 농업 지역인 남일면의 40세 이상의 거주민 | 남한의 시골 농업 지역인 남일면의 40세 이상의 거주민 | ||
== 결과 == | == 결과 == | ||
이 | 이 지역 1928명의 거주민 중, 1532명 (79.5%) 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 ||
=== 녹내장의 유병률 === | === 녹내장의 유병률 === | ||
40세 이상 인구의 POAG 유병률은 3.5% (95% 신뢰 구간 (CI) : 2.7~4.3%) 이었다. | 40세 이상 인구의 POAG 유병률은 3.5% (95% 신뢰 구간 (CI) : 2.7~4.3%) 이었다. |
2022년 3월 5일 (토) 14:56 판
남일 연구 (The Namil Study)
Prevalence of POAG in central South Korea the Namil Study[1] | |
---|---|
한글 제목 | 남한에서 일차 개방각 녹내장의 유병률 : 남일 연구 |
논문 | Ophthalmology |
저자 | 김창식[2], 성공제, 이남호, 송기철, 남일 연구 그룹, 한국 녹내장 학회 |
출판 날짜 | 2011. 06. (Epub 2011. 01. 26.) |
PMID, DOI | 21269703, 10.1016/j.ophtha.2010.10.016 |
RFs for POAG in South Korea : the Namil Study[3] | |
---|---|
한글 제목 | 남한에서 일차 개방각 녹내장의 위험 인자 : 남일 연구 |
논문 | Jpn J Ophthalmol |
저자 | 김마르다[4], 김태우, 박기호, 김준모 |
출판 날짜 | 2012. 06. (Epub 2011. 06. 05.) |
PMID, DOI | 22661397, 10.1007/s10384-012-0153-4 |
설계
정해진 인구에서의 단면, 역학 연구
대상자
남한의 시골 농업 지역인 남일면의 40세 이상의 거주민
결과
이 지역 1928명의 거주민 중, 1532명 (79.5%) 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녹내장의 유병률
40세 이상 인구의 POAG 유병률은 3.5% (95% 신뢰 구간 (CI) : 2.7~4.3%) 이었다.
- 안압 (이하 단위 mmHg) ≤ 21 : 2.7% (95% CI : 2.1~3.3%)
- 안압 ≥ 22 : 0.8% (95% CI : 0.4~1.2%)
POAG 환자의 평균 안압 (16.3 ± 4.6) 은 비녹내장안 (13.3 ± 2.7)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1).
중심 각막 두께 (CCT, 이하 단위 ㎛)
- POAG, 안압 ≤ 21 : 528 ± 26
- POAG, 안압 ≥ 22 : 531 ± 37
- 비녹내장안 : 530 ± 31
녹내장안과 비녹내장안의 각막 두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943, .996)
POAG의 위험 인자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인자들이 POAG의 증가된 위험과 관련이 있었으며, 정상 안압 녹내장 (NTG) 에서도 같았다.
- 고령 (NTG : OR 1.033, 95% CI 1.003~1.063 / y)
- 갑상샘 질환의 과거력 (NTG : OR 7.373, 95% CI 1.407~38.636)
- 높은 안압 (NTG : OR 1.132, 95% CI 1.011~1.268 / mmHg)
결론
남일면의 POAG 유병률은 이전의 전세계의 보고들보다 높았지만, 흑인이나 일본인에서 보고된 비율과 비슷했다. 평균 안압은 비녹내장안에 비해 POAG 안에서 높았지만, CCT는 차이가 없었다.
참고
- ↑ Kim CS et al; Namil Study Group, KGS. Prevalence of POAG in central South Korea the Namil study. Ophthalmology. 2011 Jun;118(6):1024-30. 연결
- ↑ 충남대학교 병원 안과학교실, 대전, 대한민국
- ↑ Kim M et al. RFs for POAG in South Korea : the Namil study. Jpn J Ophthalmol. 2012 Jul;56(4):324-9. 연결
- ↑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안과학교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성남,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