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첨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원인) |
잔글 (→임상 소견)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해면 정맥굴 증후군 | * 해면 정맥굴 증후군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동안신경]] (3번), [[활차신경]] (4번), 외향신경 (6번), 삼차신경 (5번 뇌신경) 의 안분지 (ophthalmic division) 의 기능 이상과 더불어 시신경의 손상이 동반되는 증상이 특징적이다<ref>Yeh S et al. Orbital apex syndrome. ''Curr Opin Ophthalmol''. 2004 Dec;15(6):490-8. [https://pubmed.ncbi.nlm.nih.gov/15523194/ 연결]</ref>. 눈운동 장애, 감각 변화, 외안근 마비, 안검하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각각 2, 3, 4, 6번 뇌신경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다 | [[동안신경]] (3번), [[활차신경]] (4번), 외향신경 (6번), 삼차신경 (5번 뇌신경) 의 안분지 (ophthalmic division) 의 기능 이상과 더불어 시신경의 손상이 동반되는 증상이 특징적이다<ref>Yeh S et al. Orbital apex syndrome. ''Curr Opin Ophthalmol''. 2004 Dec;15(6):490-8. [https://pubmed.ncbi.nlm.nih.gov/15523194/ 연결]</ref>. 눈운동 장애, 감각 변화, 외안근 마비, 안검하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각각 2, 3, 4, 6번 뇌신경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다. | ||
해면 정맥굴 증후군은 시신경병증 없이 5번 뇌신경의 위턱분지 및 교감 신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ref>Kline LB. The Tolosa-Hunt syndrome. ''Surv Ophthalmol''. 1982 Sep-Oct;27(2):79-95. [https://pubmed.ncbi.nlm.nih.gov/6755785/ 연결]</ref>. | 해면 정맥굴 증후군은 시신경병증 없이 5번 뇌신경의 위턱분지 및 교감 신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ref>Kline LB. The Tolosa-Hunt syndrome. ''Surv Ophthalmol''. 1982 Sep-Oct;27(2):79-95. [https://pubmed.ncbi.nlm.nih.gov/6755785/ 연결]</ref>. | ||
== 검사 == | == 검사 == | ||
원인 질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영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한다. | 원인 질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영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한다. |
2022년 3월 21일 (월) 01:53 판
안와첨 증후군 (orbital apex syndrome)[1] 은 안와첨에 종양이나 염증이 발생하여 여러 신경과 혈관에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원인
염증, 감염[2], 종양, 혈관질환 및 외상이 원인이 되어서 발생할 수 있다. 이 중 외상에 의한 경우 안와 관통상[3], 안면부 골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데[4], 이때의 기능 소실은 안와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 또는 이차적인 염증 혹은 압박으로 인한 간접적 손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5]. 국내에서는 안와의 종양 침범에 의한 경우,10 안와 관통상과 연관하여 발생한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
분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3가지 질병군을 포함하고 있다.
- 위안와 틈새 증후군
- 안와첨 증후군
- 해면 정맥굴 증후군
임상 소견
동안신경 (3번), 활차신경 (4번), 외향신경 (6번), 삼차신경 (5번 뇌신경) 의 안분지 (ophthalmic division) 의 기능 이상과 더불어 시신경의 손상이 동반되는 증상이 특징적이다[6]. 눈운동 장애, 감각 변화, 외안근 마비, 안검하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각각 2, 3, 4, 6번 뇌신경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다.
해면 정맥굴 증후군은 시신경병증 없이 5번 뇌신경의 위턱분지 및 교감 신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7].
검사
원인 질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영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한다.
- CT : 골절, 구후부 출혈 확인에 유리하다.
- MRI : 종양 및 시신경 염증, 부종 등의 관찰에 유리하다.
참고
- ↑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 ↑ Marcet MM et al. Aspergillus infection of the orbital apex masquerading as Tolosa-Hunt syndrome. Arch Ophthalmol. 2007 Apr;125(4):563-6. 연결
- ↑ Brent BD et al. Orbital apex syndrome after penetrating orbital trauma. Ann Ophthalmol. 1990 Jul;22(7):267-8. 연결
- ↑ Lasky JB et al. Household objects as a cause of self-inflicted orbital apex syndrome. J Trauma. 1997 Mar;42(3):555-8. 연결
- ↑ Peter NM et al. Orbital apex syndrome from blunt ocular trauma. Orbit. 2010 Feb;29(1):42-4. 연결
- ↑ Yeh S et al. Orbital apex syndrome. Curr Opin Ophthalmol. 2004 Dec;15(6):490-8. 연결
- ↑ Kline LB. The Tolosa-Hunt syndrome. Surv Ophthalmol. 1982 Sep-Oct;27(2):79-9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