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니톨: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만니톨 (mannitol) 은 세포의 체액에 분포되며 안내 침투는 불량하다. == 분류 == * 대한 디-만니톨 주사액 (15%, 25%) 100, 250, 500mL (대한약품공업)...) |
잔글 (→효과)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중외 15%, 20% 만니톨 주사액 100, 250, 500mL (JW중외제약) | * 중외 15%, 20% 만니톨 주사액 100, 250, 500mL (JW중외제약) | ||
== 효과 == | == 효과 == | ||
[[ | [[글리세롤]]보다 더 효과가 크다고 한다. 경구용 [[아이소소비드]]에 비하여 투여 후 30분과 60분에 동등한 안압 하강을 나타내는데 만니톨의 안압 하강의 지속 효과가 더 크다고 한다. | ||
== 과정 또는 용법 == | == 과정 또는 용법 == | ||
20% 용액을 2g/kg 으로 30분에 정맥 주사한다. 그러나 훨씬 적응 용량으로 동일한 효과를 보는 수도 있다. 작용의 시작은 20~60분이고 작용 기간은 2~6시간이다. 25% 용액에 결정체가 생기면 60~80℃로 데워져야 하고 환자에게 주사 전에 체온으로 식혀야 한다. | 20% 용액을 2g/kg 으로 30분에 정맥 주사한다. 그러나 훨씬 적응 용량으로 동일한 효과를 보는 수도 있다. 작용의 시작은 20~60분이고 작용 기간은 2~6시간이다. 25% 용액에 결정체가 생기면 60~80℃로 데워져야 하고 환자에게 주사 전에 체온으로 식혀야 한다.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대사 과정을 거치지 않고 소변으로 배설되기는 하지만, 혈액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므로 심박출량이 불량한 환자에서는 주의해야 한다. 부작용은 빈번하지는 않으나 두통, 협심증과 유사한 흉통, 과민성 반응 등이다. 만니톨 치료 후에 폐부종, 산증, 무뇨증을 나타낸 환자가 사망한 예도 보고되었으며 신기능이 나쁜 환자에서는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 대사 과정을 거치지 않고 소변으로 배설되기는 하지만, 혈액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므로 심박출량이 불량한 환자에서는 주의해야 한다. 부작용은 빈번하지는 않으나 두통, 협심증과 유사한 흉통, 과민성 반응 등이다. 만니톨 치료 후에 폐부종, 산증, 무뇨증을 나타낸 환자가 사망한 예도 보고되었으며 신기능이 나쁜 환자에서는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
2020년 3월 16일 (월) 00:58 기준 최신판
만니톨 (mannitol) 은 세포의 체액에 분포되며 안내 침투는 불량하다.
분류
- 대한 디-만니톨 주사액 (15%, 25%) 100, 250, 500mL (대한약품공업)
- CJ 15%, 20% 만니톨 주사액 100, 250, 500mL (CJ헬스케어)
- 중외 15%, 20% 만니톨 주사액 100, 250, 500mL (JW중외제약)
효과
글리세롤보다 더 효과가 크다고 한다. 경구용 아이소소비드에 비하여 투여 후 30분과 60분에 동등한 안압 하강을 나타내는데 만니톨의 안압 하강의 지속 효과가 더 크다고 한다.
과정 또는 용법
20% 용액을 2g/kg 으로 30분에 정맥 주사한다. 그러나 훨씬 적응 용량으로 동일한 효과를 보는 수도 있다. 작용의 시작은 20~60분이고 작용 기간은 2~6시간이다. 25% 용액에 결정체가 생기면 60~80℃로 데워져야 하고 환자에게 주사 전에 체온으로 식혀야 한다.
부작용 및 합병증
대사 과정을 거치지 않고 소변으로 배설되기는 하지만, 혈액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므로 심박출량이 불량한 환자에서는 주의해야 한다. 부작용은 빈번하지는 않으나 두통, 협심증과 유사한 흉통, 과민성 반응 등이다. 만니톨 치료 후에 폐부종, 산증, 무뇨증을 나타낸 환자가 사망한 예도 보고되었으며 신기능이 나쁜 환자에서는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