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ED: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SPEED (Standardized Patient Evaluation of Eye Dryness, 안구 건조의 정형화된 자가 평가 지표)'''{{각막}} 는 눈물막이 증발하여 발생하는 [[마이봄샘 기능 장애]]와 안구 표면의 균일성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설문지이다<ref>Ngo W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and validation of the SPEED questionnaire. Cornea. 2013 Sep;32(9):1204-10. [https://pubmed.ncbi.nlm.nih.gov/23846405/ 연결]</ref>. | '''SPEED (Standardized Patient Evaluation of Eye Dryness, 안구 건조의 정형화된 자가 평가 지표)'''{{각막}} 는 눈물막이 증발하여 발생하는 [[마이봄샘 기능 장애]]와 안구 표면의 균일성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설문지이다<ref>Ngo W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and validation of the SPEED questionnaire. Cornea. 2013 Sep;32(9):1204-10. [https://pubmed.ncbi.nlm.nih.gov/23846405/ 연결]</ref>. | ||
== 내용 == | == 내용 == | ||
증상이 발생한 시기, 발생 빈도 | * 증상이 발생한 시기 : 현재, 지난 72시간 이내, 지난 3개월 이내 | ||
* 발생 빈도 : 항상 그렇다(3점), 자주 그렇다(2점), 가끔 그렇다(1점), 전혀 없다(0점) | |||
* 증상의 심한 정도 : 참을 수 없음(4점),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음(3점), 불편함(2점), 참을 수 있음(1점), 전혀 없음(0점) | |||
== 장점 == | == 장점 == | ||
가장 최근 개발된 설문지로 정확도가 높으며, 간단한 문항들로 이루어져 있어 안구 건조증 평가가 용이하다. 또한 [[OSDI]]에 비해 질문이 더 적어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 가장 최근 개발된 설문지로 정확도가 높으며, 간단한 문항들로 이루어져 있어 안구 건조증 평가가 용이하다. 또한 [[OSDI]]에 비해 질문이 더 적어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 ||
{{참고}} | {{참고}} |
2022년 4월 6일 (수) 07:45 판
SPEED (Standardized Patient Evaluation of Eye Dryness, 안구 건조의 정형화된 자가 평가 지표)[1] 는 눈물막이 증발하여 발생하는 마이봄샘 기능 장애와 안구 표면의 균일성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설문지이다[2].
내용
- 증상이 발생한 시기 : 현재, 지난 72시간 이내, 지난 3개월 이내
- 발생 빈도 : 항상 그렇다(3점), 자주 그렇다(2점), 가끔 그렇다(1점), 전혀 없다(0점)
- 증상의 심한 정도 : 참을 수 없음(4점),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음(3점), 불편함(2점), 참을 수 있음(1점), 전혀 없음(0점)
장점
가장 최근 개발된 설문지로 정확도가 높으며, 간단한 문항들로 이루어져 있어 안구 건조증 평가가 용이하다. 또한 OSDI에 비해 질문이 더 적어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