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방수 (aqueous)'''{{녹내장}} 는 적절한 안압을 유지하는 기능 이외에 혈관이 없는 조직인 각막과 수정체에 기질들을 공급하고 그들로부터 대사 물질들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각막은 방수로부터 포도당과 산소를 공급 받고 젖산과 이산화탄소를 방수로 분비한다. 수정체 역시 포도당을 공급받고 젖산과 초성 포도산을 분비한다. 또한 칼륨과 아미노산이 수정체로, 그리고 나트륨이 수정체에서 방수로 이동한다.
'''방수 (aqueous)'''{{녹내장}} 는 적절한 안압을 유지하는 기능 이외에 혈관이 없는 조직인 각막과 수정체에 기질들을 공급하고 그들로부터 대사 물질들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각막은 방수로부터 포도당과 산소를 공급 받고 젖산과 이산화탄소를 방수로 분비한다. 수정체 역시 포도당을 공급받고 젖산과 초성 포도산을 분비한다. 또한 칼륨과 아미노산이 수정체로, 그리고 나트륨이 수정체에서 방수로 이동한다.
== 생산 ==
== 생산 ==
[[방수/생산]] 참고
''[[방수/생산]]'' 참고
== 방수의 성분 ==
== 방수의 성분 ==
전방과 후방의 방수는 모두 혈장에 비해 약간 <span style='color:blue;'>고장성</span>이며 전방의 <span style='color:blue;'>pH는 7.2</span>이다. 방수의 두 가지 가장 뚜렷한 특징은 동맥혈 혈장보다 <span style='color:blue;'>ascorbate가 20~30배 농도가 높고 단백질이 혈장보다 매우 적은 비율</span>(0.02%)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전방과 후방의 방수는 모두 혈장에 비해 약간 <span style='color:blue;'>고장성</span>이며 전방의 <span style='color:blue;'>pH는 7.2</span>이다. 방수의 두 가지 가장 뚜렷한 특징은 동맥혈 혈장보다 <span style='color:blue;'>ascorbate가 20~30배 농도가 높고 단백질이 혈장보다 매우 적은 비율</span>(0.02%)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2022년 4월 30일 (토) 12:17 판

방수 (aqueous)[1] 는 적절한 안압을 유지하는 기능 이외에 혈관이 없는 조직인 각막과 수정체에 기질들을 공급하고 그들로부터 대사 물질들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각막은 방수로부터 포도당과 산소를 공급 받고 젖산과 이산화탄소를 방수로 분비한다. 수정체 역시 포도당을 공급받고 젖산과 초성 포도산을 분비한다. 또한 칼륨과 아미노산이 수정체로, 그리고 나트륨이 수정체에서 방수로 이동한다.

생산

방수/생산 참고

방수의 성분

전방과 후방의 방수는 모두 혈장에 비해 약간 고장성이며 전방의 pH는 7.2이다. 방수의 두 가지 가장 뚜렷한 특징은 동맥혈 혈장보다 ascorbate가 20~30배 농도가 높고 단백질이 혈장보다 매우 적은 비율(0.02%)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유출

  • 섬유주-쉴렘관 유출로 : 정상적인 상태의 눈에서 대부분 (70~95%) 의 방수는 섬유주, 쉴렘관, 집결로 그리고 상공막 정맥과 결막 정맥으로 구성되는 이 경로로 전방각을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나간다.
  • 포도막-공막 유출로 : 나머지 5~30%는 부분적이라고 알려진 이 계통을 통해 빠져 나간다.

이 모든 유출로의 입구는 전방의 주변부인 전방각에 있다.

  • 각막 경유 : 약간의 방수는 전방으로부터 각막을 통과하여 눈물막으로 빠져 나간다. 이 통로를 이용해 배출되는 방수는 각막의 높은 수압 저항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여러 학자들이 방수가 후방에서 유리체로 들어가서 밝혀지지 않은 통로를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 나간다는 '홍채후 통로'를 주장했으나 이 통로의 존재는 확실하지 않다.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