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방수 장벽: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파괴)
 
1번째 줄: 1번째 줄:
'''혈액 방수 장벽 (blood-aqueous barrier; BAB)'''{{녹내장}} 은 혈장에서 방수로의 물질 이동에 대한 장벽을 말한다. 에를 들면 섬모체에서의 혈관의 내피, 바닥막, 실질, 색소 및 무색소 상피를 포함한다. 여러가지 내인성 및 외인성 자극들이 상피들과 혈관 내피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안압의 상승을 초래하고 방수 내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축동과 백혈구의 축적이 동반될 수 있다. 그리고 흔히 안압 상승 후 지속적인 저안압이 뒤따른다. 안구 내 감염에서는 혈액-방수 장벽이 파괴되어 세포성 혹은 체액성 면역 매개체들이 안구 내로 이동할 수 있어 치료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포도막염 및 외상에서는 장벽의 파괴로 백내장 및 홍채 유착 같은 합병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혈액 방수 장벽 (blood-aqueous barrier; BAB)'''{{녹내장}} 은 혈장에서 방수로의 물질 이동에 대한 장벽을 말한다. 에를 들면 섬모체에서의 혈관의 내피, 바닥막, 실질, 색소 및 무색소 상피를 포함한다. 여러가지 내인성 및 외인성 자극들이 상피들과 혈관 내피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안압의 상승을 초래하고 방수 내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축동과 백혈구의 축적이 동반될 수 있다. 그리고 흔히 안압 상승 후 지속적인 저안압이 뒤따른다. 안구 내 감염에서는 혈액-방수 장벽이 파괴되어 세포성 혹은 체액성 면역 매개체들이 안구 내로 이동할 수 있어 치료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포도막염 및 외상에서는 장벽의 파괴로 백내장 및 홍채 유착 같은 합병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 파괴 ==
== 파괴 ==
혈액-방수 장벽의 파괴에는 여러 가지 기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하나는 prostaglandin에 의해서 중재되는데, 이는 전방 천자 등의 여러 종류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고 아스피린이나 indomethacin 같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제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기전은 감각 신경 지배 및 neural peptide에 의해서 중재된다. 이 기전은 nitrogen mustard로 인한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고 리도카인 [[눈뒤 마취]]에 차단될 수 있다. 혈액-방수 장벽이 파괴되면 섬모체의 상피 세포와 세포 사이의 단백질이 풍부한 액체가 낭포형으로 모이고, 이 낭포 안의 성분들은 결국 후방으로 나간다.
혈액-방수 장벽의 파괴에는 여러 가지 기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하나는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해서 중재되는데, 이는 전방 천자 등의 여러 종류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고 아스피린이나 indomethacin 같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제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기전은 감각 신경 지배 및 neural peptide에 의해서 중재된다. 이 기전은 nitrogen mustard로 인한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고 리도카인 [[구후 마취]]에 차단될 수 있다. 혈액-방수 장벽이 파괴되면 섬모체의 상피 세포와 세포 사이의 단백질이 풍부한 액체가 낭포형으로 모이고, 이 낭포 안의 성분들은 결국 후방으로 나간다.
{{참고}}
{{참고}}
[[분류:녹내장]]
[[분류:녹내장]]

2022년 4월 30일 (토) 12:49 기준 최신판

혈액 방수 장벽 (blood-aqueous barrier; BAB)[1] 은 혈장에서 방수로의 물질 이동에 대한 장벽을 말한다. 에를 들면 섬모체에서의 혈관의 내피, 바닥막, 실질, 색소 및 무색소 상피를 포함한다. 여러가지 내인성 및 외인성 자극들이 상피들과 혈관 내피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안압의 상승을 초래하고 방수 내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축동과 백혈구의 축적이 동반될 수 있다. 그리고 흔히 안압 상승 후 지속적인 저안압이 뒤따른다. 안구 내 감염에서는 혈액-방수 장벽이 파괴되어 세포성 혹은 체액성 면역 매개체들이 안구 내로 이동할 수 있어 치료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포도막염 및 외상에서는 장벽의 파괴로 백내장 및 홍채 유착 같은 합병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파괴

혈액-방수 장벽의 파괴에는 여러 가지 기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하나는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해서 중재되는데, 이는 전방 천자 등의 여러 종류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고 아스피린이나 indomethacin 같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제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기전은 감각 신경 지배 및 neural peptide에 의해서 중재된다. 이 기전은 nitrogen mustard로 인한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고 리도카인 구후 마취에 차단될 수 있다. 혈액-방수 장벽이 파괴되면 섬모체의 상피 세포와 세포 사이의 단백질이 풍부한 액체가 낭포형으로 모이고, 이 낭포 안의 성분들은 결국 후방으로 나간다.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