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 두개내 고혈압: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Smile님이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 문서를 특발 두개내 고혈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IIH)'''{{신경안과}} 은 가성 뇌종양(pseudotumor cerebri)이라고도 하며, 뇌압 상승, 정상 혹은 작은 크기의 뇌실, 유두 부종을 보이나 두개내 종양의 증거가 없고 뇌척수액의 조성이 정상일 때를 의미한다. | |||
== 역학 == | == 역학 == | ||
20~45세의 뚱뚱한 여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 20~45세의 뚱뚱한 여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구역, 구토 | * 구역, 구토 | ||
* 울혈 유두로 인한 중심 시각 장애 : 흔하지 않지만 황반 출혈이나 삼출물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 * 울혈 유두로 인한 중심 시각 장애 : 흔하지 않지만 황반 출혈이나 삼출물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 ||
* | * [[외향신경 마비|외향신경]]과 [[활차신경 마비]]로 인한 복시 | ||
{{참고}} | |||
[[분류:신경안과]] |
2022년 6월 5일 (일) 02:57 판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IIH)[1] 은 가성 뇌종양(pseudotumor cerebri)이라고도 하며, 뇌압 상승, 정상 혹은 작은 크기의 뇌실, 유두 부종을 보이나 두개내 종양의 증거가 없고 뇌척수액의 조성이 정상일 때를 의미한다.
역학
20~45세의 뚱뚱한 여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원인
위시상 정맥동, 횡정맥동의 압박으로 인한 두개내 정맥 배출의 장애, 내분비 혹은 대사 장애, 임신, 갑상선 기능 저하, 스테로이드, tetracycline, 비타민 A 등의 투여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빈혈도 두개강내 정맥동 혈액의 점도에 영향을 주어 뇌척수액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병태 생리
환자의 뇌척수액 및 혈청에서 retinol과 retinol-binding protein(RBP)의 비율이 정상인에서보다 더 크다는 결과가 있다. 이는 비타민 A가 발생과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보이며, 그 기전은 뇌척수액 속의 잉여 retinol이 거미막 융모에 악영향을 주어 뇌척수액의 흡수를 방해하고 이로 인해서 뇌압이 상승되기 때문이다.
관련 질환
만성 호흡 부전이 동반될 수 있다.
증상
- 두통 : 가장 흔하다.
- 일시적 시력 저하 : 단안에만 올 수도 있고 양안에 같이 올 수도 있는데 몸을 구부리거나 구부린 몸을 펼 때 발생하기도 한다. 시력 저하의 원인은 유두 부종으로 인한 시신경 유두의 일시적인 허혈로 생각된다.
- 구역, 구토
- 울혈 유두로 인한 중심 시각 장애 : 흔하지 않지만 황반 출혈이나 삼출물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 외향신경과 활차신경 마비로 인한 복시
참고
- ↑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