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 황반 이상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검사 및 진단)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점차 진행하는 양안의 시력 감소를 호소하며, 국내 환자들의 경우 환측 눈은 20/200부터 20/25 사이의 시력을 보였으며2, 대부분 심한 색각 이상을 보인다3. 증상 발생 시기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증상 발생 연령이 어릴수록 이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4 | 점차 진행하는 양안의 시력 감소를 호소하며, 국내 환자들의 경우 환측 눈은 20/200부터 20/25 사이의 시력을 보였으며2, 대부분 심한 색각 이상을 보인다3. 증상 발생 시기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증상 발생 연령이 어릴수록 이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4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안저, FA : 정상 소견을 | * 안저, FA : 정상 소견을 보인다<ref>Tsunoda K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MD in family with mutation of RP1l1 gene. ''Retina''. 2012 Jun;32(6):1135-47. [https://pubmed.ncbi.nlm.nih.gov/22466457/ 연결]</ref>. | ||
* AF : 황반부에 약한 과형광이 관찰되어,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 * AF : 황반부에 약한 과형광이 관찰되어,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ref>Fujinami K et al. Fundus AF in autosomal dominant OMD. ''Arch Ophthalmol''. 2011 May;129(5):597-602. [https://pubmed.ncbi.nlm.nih.gov/21555613/ 연결]</ref>. | ||
* ERG : 주로 원뿔세포 반응이 감소되어 있으며, 막대세포 반응은 정상에 가까운 경우도 젊은 환자에서는 많다. | * ERG : 주로 원뿔세포 반응이 감소되어 있으며, 막대세포 반응은 정상에 가까운 경우도 젊은 환자에서는 많다<ref>Miyake Y et al. Occult macular dystrophy. ''AJO''. 1996 Nov;122(5):644-53. [https://pubmed.ncbi.nlm.nih.gov/8909203/ 연결]</ref>. | ||
* mfERG : 황반부의 반응이 심하게 감소 또는 소실되어 | * mfERG : 황반부의 반응이 심하게 감소 또는 소실되어 있다<ref>Piao CH et al. mfERG in occult macular dystrophy. ''IOVS''. 2000 Feb;41(2):513-7. [https://pubmed.ncbi.nlm.nih.gov/10670483/ 연결]</ref>. | ||
* OCT : 시세포층 및 외과립층의 구조 이상을 보인다9-11. | * OCT : 시세포층 및 외과립층의 구조 이상을 보인다9-11. | ||
mfERG 소견과 OCT 소견이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f>Yang L et al; East Asia Inherited Retinal Disease Society Study Group. Spati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Patients w OMD (Miyake Disease); EAOMD Report No.2. ''AJO''. 2021 Jan;221:169-180. [https://pubmed.ncbi.nlm.nih.gov/32707201/ 연결]</ref>. | mfERG 소견과 OCT 소견이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f>Yang L et al; East Asia Inherited Retinal Disease Society Study Group. Spati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Patients w OMD (Miyake Disease); EAOMD Report No.2. ''AJO''. 2021 Jan;221:169-180. [https://pubmed.ncbi.nlm.nih.gov/32707201/ 연결]</ref>. | ||
{{참고}} | {{참고}} |
2022년 8월 24일 (수) 04:40 판
잠복 황반 이상증 (occult macular dystrophy, OMD)[1]
1989년 Miyake 등1은 겉으로 드러난 안저 이상이 보이지 않는 황반 이상증을 한 가계에 속한 세 명의 환자에서 보고하였다.
유전
대부분의 환자들은 상염색체 우성 또는 산발성 유전 방식을 보이며, 8번 염색체 (8p23) 상의 RP1L1 유전자의 이상이 밝혀졌다13. 이 유전자의 과오 돌연변이가 원인일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4.
증상
점차 진행하는 양안의 시력 감소를 호소하며, 국내 환자들의 경우 환측 눈은 20/200부터 20/25 사이의 시력을 보였으며2, 대부분 심한 색각 이상을 보인다3. 증상 발생 시기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증상 발생 연령이 어릴수록 이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4
검사 및 진단
- 안저, FA : 정상 소견을 보인다[2].
- AF : 황반부에 약한 과형광이 관찰되어,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3].
- ERG : 주로 원뿔세포 반응이 감소되어 있으며, 막대세포 반응은 정상에 가까운 경우도 젊은 환자에서는 많다[4].
- mfERG : 황반부의 반응이 심하게 감소 또는 소실되어 있다[5].
- OCT : 시세포층 및 외과립층의 구조 이상을 보인다9-11.
mfERG 소견과 OCT 소견이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Tsunoda K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MD in family with mutation of RP1l1 gene. Retina. 2012 Jun;32(6):1135-47. 연결
- ↑ Fujinami K et al. Fundus AF in autosomal dominant OMD. Arch Ophthalmol. 2011 May;129(5):597-602. 연결
- ↑ Miyake Y et al. Occult macular dystrophy. AJO. 1996 Nov;122(5):644-53. 연결
- ↑ Piao CH et al. mfERG in occult macular dystrophy. IOVS. 2000 Feb;41(2):513-7. 연결
- ↑ Yang L et al; East Asia Inherited Retinal Disease Society Study Group. Spati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Patients w OMD (Miyake Disease); EAOMD Report No.2. AJO. 2021 Jan;221:169-180.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