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RK: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L-SRK''' 공식은 심한 근시안, 특히 안축장이 예외적으로 긴 환자에서 인공수정체 도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SRK를 수정한 공식으로, 1990...)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L-SRK''' 공식은 심한 근시안, 특히 안축장이 예외적으로 긴 환자에서 인공수정체 도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SRK]]를 수정한 공식으로, 1990년 Kora 등<ref>Kora Y et al. A simple modified SRK formula for severely myopic eyes. ''Ophthalmic Surg''. 1990 Apr;21(4):266-71. [https://pubmed.ncbi.nlm.nih.gov/2362753/ 연결]</ref>이 발표하였다. | '''L-SRK''' 공식은 심한 근시안, 특히 안축장이 예외적으로 긴 환자에서 인공수정체 도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SRK]]를 수정한 공식으로, 1990년 Kora 등<ref>Kora Y et al. A simple modified SRK formula for severely myopic eyes. ''Ophthalmic Surg''. 1990 Apr;21(4):266-71. [https://pubmed.ncbi.nlm.nih.gov/2362753/ 연결]</ref>이 발표하였다. | ||
P = A - 2.5×L - 0.9×K - 1.69×R - 1.69 | |||
(※ | (※ P : 삽입할 인공수정체 도수, A : A상수, L : 안축장, K : 평균 각막 곡률, R : 술 후 목표 굴절력)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