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피막: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근피막 (muscle capsule) 은 외안근 근복부(muscle belly)와 힘줄 부분을 포함한 근육 자체를 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혈관이 없고 투명한 결합 조직...)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근피막 (muscle capsule) 은 외안근 근복부(muscle belly)와 힘줄 부분을 포함한 근육 자체를 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혈관이 없고 투명한 결합 조직막을 말한다. 근피막 내면은 혈관 조직이 풍부한 근육 실질과 단단히 부착되어 있으며 표면은 평활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한다. 수술할 때 근피막이 손상을 받게 되면 근육에 분포되어 있는 많은 혈관이 쉽게 손상을 받게 되어 출혈이 심하게 일어나며 출혈이 근피막과 근육 사이로 전파되어 혈종을 형성하여 수술이 어려워질 수 있다.
'''근피막 (muscle capsule)'''{{사시}} 은 외안근 근복부 (muscle belly) 와 힘줄 부분을 포함한 근육 자체를 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혈관이 없고 투명한 결합 조직막을 말한다. 근피막 내면은 혈관 조직이 풍부한 근육 실질과 단단히 부착되어 있으며 표면은 평활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한다. 수술할 때 근피막이 손상을 받게 되면 근육에 분포되어 있는 많은 혈관이 쉽게 손상을 받게 되어 출혈이 심하게 일어나며 출혈이 근피막과 근육 사이로 전파되어 혈종을 형성하여 수술이 어려워질 수 있다.
{{참고}}

2022년 10월 9일 (일) 03:06 기준 최신판

근피막 (muscle capsule)[1] 은 외안근 근복부 (muscle belly) 와 힘줄 부분을 포함한 근육 자체를 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혈관이 없고 투명한 결합 조직막을 말한다. 근피막 내면은 혈관 조직이 풍부한 근육 실질과 단단히 부착되어 있으며 표면은 평활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한다. 수술할 때 근피막이 손상을 받게 되면 근육에 분포되어 있는 많은 혈관이 쉽게 손상을 받게 되어 출혈이 심하게 일어나며 출혈이 근피막과 근육 사이로 전파되어 혈종을 형성하여 수술이 어려워질 수 있다.

참고

  1. 최신 사시학 5판, 2024 (한국 사시 소사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