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마취: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전방 마취 (intracameral anesthesia)'''{{백내장}} 는 최근에 백내장 수술 시 점안 마취를 한 후 추가로 1% lidocaine을 전방내 주입하여 홍채와 모양체의 신경을 추가로 마취시켜 수정체 유화술 중 홍채 조작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 '''전방 마취 (intracameral anesthesia)'''{{백내장}} 는 최근에 백내장 수술 시 점안 마취를 한 후 추가로 1% lidocaine을 전방내 주입하여 홍채와 모양체의 신경을 추가로 마취시켜 수정체 유화술 중 홍채 조작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ref>Westborg I et al. Intracameral anesthesia for cataract surgery : a population-based study on patient satisfaction and outcome. ''Clin Ophthalmol''. 2013;7:2063-8. [https://pubmed.ncbi.nlm.nih.gov/24204107/ 연결]</ref>. | ||
== 방법 == | == 방법 == | ||
각막 절개창을 통해 1% 리도카인을 0.3ml 정도 전방 내 주사한다. 에피네프린을 섞는 경우 1:1000으로 나온 앰플을 추가적으로 희석하여 1:100,000~200,000 으로 리도케인과 혼합하여 주사할 수 있다. | 각막 절개창을 통해 1% 리도카인을 0.3ml 정도 전방 내 주사한다. 에피네프린을 섞는 경우 1:1000으로 나온 앰플을 추가적으로 희석하여 1:100,000~200,000 으로 리도케인과 혼합하여 주사할 수 있다<ref>Kohnen T. Is intracameral anesthetic application the final solution to topical anesthesia for cataract surgery? ''JCRS''. 1999 May;25(5):601-2. [https://pubmed.ncbi.nlm.nih.gov/10330622/ 연결]</ref><ref>Nebbioso M et al. Intracameral lidocaine as supplement to classic topical anesthesia for relieving ocular pain in cataract surgery. ''Int J Ophthalmol''. 2018 Dec 18;11(12):1932-1935. [https://pubmed.ncbi.nlm.nih.gov/30588425/ 연결]</ref>. | ||
== 적응증 == | == 적응증 == | ||
* 홍채,섬모체 등 안내 조직의 마취가 부족한 경우 | * 홍채,섬모체 등 안내 조직의 마취가 부족한 경우 | ||
* [[수술 중 홍채 이완 증후군]]이 있는 경우 | * [[수술 중 홍채 이완 증후군]]이 있는 경우 | ||
{{참고}} | {{참고}} |
2022년 10월 10일 (월) 17:42 기준 최신판
전방 마취 (intracameral anesthesia)[1] 는 최근에 백내장 수술 시 점안 마취를 한 후 추가로 1% lidocaine을 전방내 주입하여 홍채와 모양체의 신경을 추가로 마취시켜 수정체 유화술 중 홍채 조작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2].
방법
각막 절개창을 통해 1% 리도카인을 0.3ml 정도 전방 내 주사한다. 에피네프린을 섞는 경우 1:1000으로 나온 앰플을 추가적으로 희석하여 1:100,000~200,000 으로 리도케인과 혼합하여 주사할 수 있다[3][4].
적응증
- 홍채,섬모체 등 안내 조직의 마취가 부족한 경우
- 수술 중 홍채 이완 증후군이 있는 경우
참고
- ↑ 백내장 4판, 2022 (한국 백내장 굴절 수술 학회, 일조각)
- ↑ Westborg I et al. Intracameral anesthesia for cataract surgery : a population-based study on patient satisfaction and outcome. Clin Ophthalmol. 2013;7:2063-8. 연결
- ↑ Kohnen T. Is intracameral anesthetic application the final solution to topical anesthesia for cataract surgery? JCRS. 1999 May;25(5):601-2. 연결
- ↑ Nebbioso M et al. Intracameral lidocaine as supplement to classic topical anesthesia for relieving ocular pain in cataract surgery. Int J Ophthalmol. 2018 Dec 18;11(12):1932-193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