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시/치료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7월 12일 (금) 03:43 판 (→‎방법)

약시 : 치료

목적

주목적은 약시안의 시력 회복 또는 개선에 있으며, 성공적으로 치료되면 사시 약시의 경우 사시가 사위 혹은 간헐 사시로 바뀌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1]. 또 정상안이 불의의 사고로 장애가 생길 경우에 대비하여 예비안 보존이란 이유로도 약시 치료가 필요하다.

원칙

약시 치료는 병태생리학적 개념에 따라 변화되었으며 한때는 선천 또는 유전질환이라고 여겨 치료가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약시는 발생 원인에 따라 분류가 달라지지만 사시 또는 굴절 부등 약시가 대부분이며, 약시안을 쓰지 않는다는 공통적인 이유 때문에 그 눈을 강제로 사용하도록 하는 치료 방법이 주종을 이루어 왔다.

약시 치료의 원칙은 약시를 유발하는 두 가지 기전인 시각 차단 (형태시 결핍) 과 비정상적 두눈 상호작용을 교정하여 시력발달을 도와주는 것이다. 형태시 결핍을 해결하여 약시안 망막에 또렷한 상을 맺게 해주어야 시각 발달을 자극할 수 있다. 눈꺼풀 처침이나 백내장 등 시축을 가리는 병변이 있으면 이를 해결하고 굴절 이상은 교정하여 망막에 깨끗한 상이 맺힐 수 있도록 한다. 두 눈의 형태시 결핍을 해결한 상태에서 사시가 있거나 한 눈의 굴절 이상이 더 심하다는 등의 원인으로 우세안과 비우세안이 있을 경우에는 비정상적 두눈 상호작용을 해결해주기 위해 우세안에 이익을 주는 방법을 동원한다.

방법

가림 치료가 가장 많이 쓰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립되었지만 의사에 따라 처벌 치료를 우선하는 경우도 있으며, 치료 방법은 우열 관계보다는 선호도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

굴절 이상의 교정

굴절이상이 있으면 조절 마비 굴절 검사를 하여 적절한 안경을 착용하도록 한다. 굴절 이상의 교정은 모든 약시 치료에서 가장 중요하고,굴절부등 약시, 사시 약시, 두눈 굴절이상 약시에 모두 단독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비정상적 두눈 상호작용이 있는 굴절부등 약시나 사시 약시의 경우에도 굴절 이상을 교정해주는 것만으로 시력이 어느 정도 호전된다는 보고가 있다.73

어른과 달리 소아에서 안경을 처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에는 약시가 이미 발생하였거나,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약시가 발생할 수 있는 굴절 이상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미국 안과 학회 안경 처방 지침도 전문가 집단의 합의에 의한 것으로 과학적인 근거가 충분한 숫자는 아니며 계속 수치가 변하고 있지만 참고할 만하다.

가림 치료

참고

  1. Campos E. Amblyopia. Surv Ophthalmol. 1995 Jul-Aug;40(1):23-39.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