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혈소판 농축액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8월 5일 (화) 07:20 판 (→‎기계적)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자가 혈소판 농축액 (autologous platelet concentration)

효과

유리체 내 주입하면 황반 원공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는 기존의 연구들이 있다. 자가 혈소판 농축액 주입술을 이용한 황반 원공 치료에서는 해부학적 수술 성공률이 93~98%로 높게 보고된 바 있다[1][2][3][4][5].

생물학적

신경 아교세포의 증식 및 활성화와 연관된다[6]. 혈소판 농축액은 원공 부위를 메움으로써 뮐러세포와 같은 신경 아교세포들의 이동과 증식을 위한 뼈대로서 작용하고, 동시에 앞서 언급한 여러 성장 인자들이 이러한 과정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7]. 이러한 신경 아교세포의 활성화는 정상적인 황반 오목 구조를 회복하는데 있어 중요한 과정인 것으로 보인다[6]. 또한 혈소판 내 성장인자들은 망막 회복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RPE 세포의 이동과 증식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9][10].

기계적

기계적 기전은 응고된 자가 혈소판 농축액과 관련된다. 혈소판 농축액은 액체 상태에서 원공 부위에 채워진 뒤에 단단하게 망막 표면에 유착하며 응고되는데 이를 통해 원공 부위의 망막과 유리체 사이의 접촉면을 없애고 망막의 수화를 방지하여 원공의 폐쇄에 기여한다[6]. 또한 혈소판 농축액은 원공 부위의 낭포성 변화를 가라앉히고 원공 주위 뮐러세포의 구심성 수축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1]. 이를 통해 원공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접선 방향의 원심성 견인력에 대한 구심성 대항력을 발생시켜 원공 폐쇄 성공률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된다[6][11].

제조

  1. 항응고액이 섞인 주사기로 환자의 정맥 혈액을 약 25 ml 가량 무균적으로 채취한다.
  2. 채취한 혈액을 특수한 분리 키트 (sPRP® bio kit; Prodizen Inc., 서울, 대한민국) 에 옮겨 담아 3,000 RPM에서 3분간 원심 분리를 시행한다.
  3. 원심 분리 후 3개의 층으로 분리된 혈액에서 중간의 얇은 층이 연층 (buffy coat) 이라 불리는 층이며 이 층에 혈소판과 백혈구가 모이게 되는데, 이 연층을 1ml 주사기로 추출한다.

주입 용량

기존 연구들에서는 보편적으로 1~3 방울 또는 0.1 ml 를 주입하였다.

참고

  1. Vote BJ et al. Autologous platelets for MH surgery : the Sussex Eye Hospital experience. Clin Exp Ophthalmol. 2004 Oct;32(5):472-7. 연결
  2. Gaudric A et al. Autologous platelet concentrate for the treatment of FTMH.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5 Sep;233(9):549-54. 연결
  3. Paques M et al. Effect of autologous platelet concentrate in surgery for idiopathic MH : results of a multicenter, double-masked, randomized trial. Platelets in Macular Hole Surgery Group. Ophthalmology. 1999 May;106(5):932-8. 연결
  4. Babu N et al. Comparison of PRP and inverted ILM flap for the management of large MH : A pilot study. Indian J Ophthalmol. 2020 May;68(5):880-884. 연결
  5. Cheung CM et al. Anatomical success rate of MH surgery with autologous platelet wo ILMP. Eye (Lond). 2005 Nov;19(11):1191-3. 연결
  6. 6.0 6.1 6.2 6.3 Figueroa MS et al. Long-term results of autologous plasma as adjuvant to PPV in the treatment of high myopic FTMH. Eur J Ophthalmol. 2021 Sep;31(5):2612-2620. 연결
  7. Wu AL et al. Role of growth factors and ILM constituents in müller cell migration. Exp Eye Res. 2021 Jan;202:108352. 연결
  8. Alves R et al. A Review of PRP : History, Biology, Mechanism of Action, and Classification. Skin Appendage Disord. 2018 Jan;4(1):18-24. 연결
  9. Romano MR et al. Management of refractory and recurrent MH : A comprehensive review. Surv Ophthalmol. 2022 Jul-Aug;67(4):908-931. 연결
  10. Velhagen KH et al. Proliferation und Wundheilung von RPE-Zellen in vitro. Einfluss von humanem Thrombozytenkonzentrat, Serum und PDGF [Proliferation and wound healing of RPE cells in vitro. Effect of human thrombocyte concentrate, serum and PDGF]. Ophthalmologe. 1999 Feb;96(2):77-81. German. 연결
  11. 11.0 11.1 Bringmann A et al. Different modes of foveal regeneration after closure of FTMH by (re)vitrectomy and autologous platelet concentrate. Int J Ophthalmol. 2020 Jan 18;13(1):36-4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