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모음 마비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7월 9일 (일) 13:26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눈모음 마비 (convergence paralysis)[1] 는 근거리 주시에서 만 복시가 있고 눈모음이 불가능하나 한눈운동 검사에서는 내전기능이 정상인 상태이다.

원인

Walsh와 Hoyt는 가장 흔한 원인은 두부 손상이며 그 외 뇌염, 파종 경화증과 척수로 등도 원인일 수 있다고 하였다. 버섯 중독 후 눈모음 마비가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관련 질환

수직 주시 마비와 잘 동반된다.

분류

  • 기질적 (inability) 눈모음 마비 : 하고자 해도 할 수 없는 상태
  • 기능적 (unwillingness) 눈모음 마비 : 할 수는 있지만 하고자 하지 않는 것

임상 소견

  • 두개강내 질환 유무
  • 갑자기 발생한 근거리 교차 복시
  • 연속 검사 시 반복적인 같은 증상
  • 눈모음 시 정상적인 조절과 동공 반응

검사 및 진단

환자가 눈을 모으고자 하는 노력이 부족한 것인지 아니면 할 수가 없는 것인지 검사하기 위해 환자로 하여금 1~2m 거리에서 주시 시표를 보게 한 후 회전 프리즘을 이용하여 환자의 눈에 바닥 바깥쪽 프리즘을 대는 검사를 시행하여 확인한다. 눈모음 마비에서는 즉시 복시가 나타나지만 기능적인 환자의 경우에는 점차로 프리즘의 도수를 어느 정도 올려줌에 따라 융합 눈모음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장애 진단 시 중심 20˚ 이내에 복시가 있으면 한 눈 실명과 같은 보상을 받기 때문에 감별 진단이 중요하다.

치료

조절 장애가 있다면 근거리 주시를 위해

  • 이중 초점 렌즈
  • 안경의 아래 부분에 바닥 안쪽 프리즘

을 처방해준다.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