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공막염
감염 공막염 (infectious scleritis)
역학
감염에 의한 경우는 드물어 3차 병원에 오는 환자의 4~18%를 차지한다.
분류
- 외인성 감염 : 가장 흔하며, 외상 후나 수술 후 감염, 주변 안구 감염의 확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급성, 화농성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 내인성 감염 : 드물게 나타나며, 비감염성의 광범위, 결절성, 괴사 공막염과 유사하게 보인다. 매독이나 결핵 같은 전신적 감염에 의한 공막염은 이 범주에 속한다.
원인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모두가 공막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원인균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막에 도달해 감염을 일으킨다. 가장 가능성이 있는 경로는 인접한 안구 기관으로부터 오는 것이다. 주변 각막의 각막염으로부터 균주가 이동하여 공막이 감염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결막이나 안와 조직의 감염은 공막에 거의 침범하지 않으나,드물게 안와 연조직염이나 눈물주머니염, 부비강염, 심한 결막염에서 공막염 이 발생하기도 한다. 병의 증상이나 경과 같은 임상양상은 원인 균주에 따라 다르며, 나타날 수 있는 임상양상은 무수히 많다.
임상 양상
각공막염
대부분은 각막의 심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바이러스나 진균, 기생충에 의한 각막염도 각공막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그람 음성균, 특히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이 가장 흔하게 각막에서 공막으로 전염된다 각막염이 없는 Pseudomonas 공막염 또한 보고되어 있다.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 Mycobacterium chelonei, herpes simplex virus, herpes zoster virus, Aspergil1us, Acremonium, Acanthoamoeba도 각공막염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어왔다. 특히 AIDS 환자처럼 면역 이 저하된 경우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전격각 공막염이 나타날 수 있다 11 9 주변 각막의 감염은 각막윤 부로 진행되 어 부종, 침윤을 통반한 윤부홍반을 일으키 며 , 대개 결막의 상피결손은 나타나지 않는다. 공막이 감 염되면 통증이 증가하게 되고, 각막염이 공막에 침범한 경우 감염이 조절될 가능성이 줄어들지만 성공적으로 치 료될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