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 콘택트렌즈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5월 30일 (토) 15:32 판

소프트 콘택트렌즈 (soft contact lens; SCL) 은 연성 콘택트렌즈 라고도 한다.

역사

발명은 1960년 Otto Wichterle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당시 의학의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떤 'water absorbing plastic'인 하이드로겔 (hydrogel) 의 발명이 계기가 되었다. 하이드로겔은 'flexible' 혹은 '소프트' 콘택트렌즈라고 정의되었으며 렌즈의 양 끝을 구부려서 렌즈의 손상 없이 맞닿을 수 있을 수 있께 하였으며 각막의 모양을 따라 휘어진 모양으로 제작되었따. Wichterle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하이드로겔 물질의 보급에 큰 기여를 하였으며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디자인의 근간을 만들었다.

재질

  •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onomer : 최초로 실제로 이용된 소프트 렌즈를 만드는 데 이용된 단량체이다.
  •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이 단량체는 1개의 분자 안에 2개의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데 주로 교차 결합체로 이용된다.
  • MAA (methacrylate acid) : 하이드로겔 재질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생리적 상태의 pH 에서는 항상 전하를 띠게 되어 이 단량체를 함유한 중합체는 음이온을 띠게 된다.
  • MMA (methyl methacrylate) : 하드 콘택트렌즈 재질인 PMMA를 만드는 데 주로 이용되는 단량체이지만 때때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작에서 수분 함량을 감소시키고 내구성과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 vinyl pyrrolidone 또는 n-vinyl-pyrrolidone (NVP) : 친수성이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하이드로겔 렌즈 재질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온 단량체인데, 근래에는 최신 재질인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습윤성과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 styrene
  • divinylbenzene
  • PDMS (polydimethylsiloxane) = silicone rubber
  • TRIS- (trimethyl-silyl-propyl-methacrylate)
  • DMA (dimethylacrylamide)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