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
근시 (myopia)
발생 기전
- 조절 부족 (lag of accommodation) : 과도한 근거리 작업이 조절 부족을 일으켜 망막 뒤쪽에 초점이 맺히게 되는 원시성 초점 흐림을 야기하고 안축장 길이를 증가시키는 신호로 작용되어 근시를 유발한다.
소아에서의 근시
1세 미만 | 1~2세 | 2~3세 | 3~4세 | |
---|---|---|---|---|
동등시 (isometropia) | ||||
근시 | ≥ 5.00 D | ≥ 4.00 D | ≥ 3.00 D | ≥ 2.50 D |
원시 (사시 없음) | ≥ 6.00 D | ≥ 5.00 D | ≥ 4.50 D | ≥ 3.50 D |
내사시를 동반한 원시 | ≥ 2.00 D | ≥ 2.00 D | ≥ 1.50 D | ≥ 1.50 D |
난시 | ≥ 3.00 D | ≥ 2.50 D | ≥ 2.00 D | ≥ 1.50 D |
사시가 없는 부등시 (anisometropia) | ||||
근시 | ≥ 4.00 D | ≥ 3.00 D | ≥ 3.00 D | ≥ 2.50 D |
원시 (사시 없음) | ≥ 2.50 D | ≥ 2.00 D | ≥ 1.50 D | ≥ 1.50 D |
난시 | ≥ 2.50 D | ≥ 2.00 D | ≥ 2.00 D | ≥ 1.50 D |
치료
안경
이중 초점 안경은 근시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최초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이는 근시가 광학적 흐려짐 (optical blur) 을 유발하는 지속적인 조절에 대한 반응이라는 가정에 기초하였다.
콘택트렌즈
아트로핀
아트로핀을 사용할 때 가장 일반적인 문제는 산동과 일시적인 조절 마비이다. 이 문제는 광채색, PAL 안경으로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노출과 장기적인 망막 손상에 대한 우려도 있다. 그러나, 렌즈에 자외선 코팅을 사용함으로써 자외선 노출을 줄일 수 있고, PAL을 사용해서 조절의 손실을 완화할 수 있다.
참고
- Cooper J, Tkatchenko AV. A Review of Current Concepts of the Etiology and Treatment of Myopia. Eye Contact Lens. 2018;44(4):231-247.
- AAO : Pediatric eye evaluations preferred practice pattern, 2017 연결